전문가들 “11월~내년초 재유행…새 변이, 높은 치명률도 대비해야”

  • 뉴스1
  • 입력 2022년 4월 20일 14시 40분


코멘트
과학 방역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 심포지엄. 질병관리청 제공
과학 방역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 심포지엄. 질병관리청 제공

전문가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이 올해 11월에서 내년 초 사이 다시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전문가들은 “다음 변이는 치명률이 낮을 가능성이 높지만, 그렇지 않을 가능성도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질병관리청·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민건강보험공단·대한수학회는 20일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과학 방역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정재훈 “현재는 ‘하이퍼 엔데믹’…다음 정부 중점, 새 변이 손실 없이 넘기는 것”

정재훈 가천대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유행 예측이나 기초적인 데이터는 중환자 병상을 몇 병상 준비해야 하는지, 어디까지 준비해야 막을 수 있는지 결정할 수 있는 요인이 된다”며 “최악의 상황을 막을 수 있는 병상을 막기 위해선 과학적 데이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현재 코로나19 유행 상황을 풍토병화로 가고 있지만, 발생 규모가 큰 ‘하이퍼 엔데믹’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새로운 변이가 유행하면, 그때부터는 엔데믹으로 넘어갈 수 있는 상황이다. 다음 정부의 대응 중점은 새로운 변이 유행이 발생하더라도 사회 경제적 피해 없이, 방역상의 인명손실 없이 넘기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 교수는 “클레이드(계통군) 관점으로 보면 우세종이 바뀌는 시간이 10~14주 정도로 평가된다”며 “다음 변이의 특성은 면역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진화가 될 것이다. 중증화율은 감소할 가능성이 많다. 하지만 그렇지 않을 가능성도 대비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정 교수는 Δ변이에 업데이트된 백신 접종 계획 Δ경구용 치료제 비축 Δ마스크 착용 등 다른 비약물적 정책의 평가·계획 등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를 위해 항체양성률·재감염률·백신 효과 감소 등을 측정하고, 백신 안전성 평가를 위한 능동감시체계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봤다. 코로나19 합병증과 후유증을 추적하고, 고위험군을 분류해 그에 맞는 코호트(격리병동) 등을 구축도 주장했다.

◇정은옥 “재유행시 700~2700명 사망…백신 주저 유행 5~20%↑”

정은옥 건국대학교 수학과 교수 연구팀은 백신을 맞기 주저하는 ‘백신 주저 현상’과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비약물적 중재 상황’을 고려해 2022년 예측 시뮬레이션을 실행했다.

그 결과 백신 주저 현상이 유행의 최대치를 5~20% 증가시킬 수 있으며, 올해 11월에서 내년 초까지 가을 재유행이 나타날 수 있다고 봤다. 하지만 어떤 시나리오에서도 내원 중인 중증 환자의 수는 첫 유행보다 적었다.

정은옥 교수는 가을 재유행 전에 4차접종을 시행하는 변수를 여러 각도로 적용했다. 9월부터의 상황에서 거리두기 전면적 완화를 고려해 비약물적 중재 강도는 낮은 수준(0.4)로 두고, 거리두기 완화 한달 전 Δ4차접종 미실시 Δ전연령대 동일 비례 접종으로 400만명 Δ60세 이상만 400만명 Δ전연령대 동일 비례 접종으로 1200만명에 대해 4차접종을 실시했을 경우로 구분했다.

그러자 전연령대 1200만명 접종이 확진자와 중증환자가 가장 적었고, 전연령대 400만명 접종 시나리오에서는 중환자 1418명, 60세 이상 400만명 접종시 1347명 나왔다. 시나리오들의 누적 사망자 규모는 700~2700명 사이로 전망됐다.

정은옥 교수는 수리모델링을 활용해 Δ감염병 대응 정책 관리에 과학적 근거 제시 Δ실시간 감염재생산지수 추정과 예측 등이 필요하다고 봤고, 수리모델링 센터 구축도 강조했다.

질병청에서는 코로나19 유행 상황에서 모델링을 통한 감염병 예측으로 중요성이 환기되고, 과학적 근거를 활용하는 경험이 축적됐다고 봤지만, 아직 인프라가 부족하고 민관 협력의 공식적 기구도 부재했다고 평가했다. 이를 위해 기관 내 전문가 기구나 위원회 등 상시 기구를 설치하고, 코로나19 외에도 다양한 감염병에 대한 모델링 연구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