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림만 해양정원은 생태계 보전 모델 될 것”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3월 30일 03시 00분


코멘트

충남도-서산시-태안군, 예타 총력전

충남도와 서산시, 태안군이 가로림만 해양정원 조성사업 추진을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중단됐던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예비타당성조사(예타)가 재개돼 6월 말 결론이 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양승조 충남도지사는 24일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을 방문해 김유찬 원장에게 가로림만 해양정원 조성의 필요성을 설명하며 협조를 요청했다.

양 지사는 “가로림만 해양정원은 지속가능한 어촌, 해양 생태계 보전의 새 모델이 될 것”이라며 “국민적 휴식지 조성과 국가균형발전이란 정책적인 측면이 예타에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산시와 태안군 사이의 가로림만은 해안 162km, 유인도서 4곳, 무인도서 48곳으로 이뤄졌다. 전체 1만5985ha 가운데 절반(8000ha)이 갯벌로 세계 5대 갯벌이며 환경보전 가치 1위, 생태 건강도 최상위권의 해양생태 환경을 자랑한다. 양 지사는 지난해 10월 대통령 주재 ‘한국판 뉴딜 전략회의’에서 “가로림만 해양정원을 해양생태계와 수산자원을 보전하고 이를 통해 온실가스도 감축하는 새로운 해양 보전·활용 모델과 신성장동력의 거점으로 만들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가로림만은 정부가 2006년 조력발전소 건설 사업을 추진하면서 주민 반대에 부닥쳤으나 충남도가 2018년 환경 보전에 방점을 둔 ‘가로림만 해양정원’ 조성 계획을 발표하면서 기대감이 높아졌다. 가로림만 해양정원은 순천만 국가정원과 서천 국립생태원같이 육지에 한정됐던 ‘정원(garden)’ 개념을 바다로 확장한 국내 첫 사례다. 도는 2025년까지 2448억 원을 투입해 문재인 정부의 주요 공약사업인 해양정원을 자연과 인간, 바다와 생명이 어우러진 글로벌 해양 생태관광 거점으로 만들 계획이다.

지난해 11월 도가 개최한 ‘가로림만 해양정원 정책포럼’에서 이주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은 “사업 추진 여건과 정책 효과 모두 매우 높고 주민 80% 이상이 찬성해 예타 평가 기준에 부합했다”며 “조성 기간 직접 고용은 2179명이지만 조성 후에는 훨씬 더 많아진다”고 발표했다.

지명훈 기자 mhjee@donga.com
#가로림만#해양정원#생태계 보전 모델#예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