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바이오헬스 산단 예정지에도 투기 의혹…‘벌집’ 40여채

  • 뉴스1
  • 입력 2021년 3월 17일 11시 55분


코멘트
충북 충주 대소원면 완호리 바이오헬스 국가산단 예정지에 지어진 조립식 주택 앞으로 듬성듬성 심겨진 나무가 보이고 있다.2021.3.17/© 뉴스1
충북 충주 대소원면 완호리 바이오헬스 국가산단 예정지에 지어진 조립식 주택 앞으로 듬성듬성 심겨진 나무가 보이고 있다.2021.3.17/© 뉴스1
“기가 막힐 지경이다. 돈이 없어 집은커녕 나무 한 그루 못 심는 주민만 바보다.”

17일 충북 충주시 대소원면의 한 주민은 바이오헬스 국가산단 예정지에 우후죽순 들어선 조립식 주택을 가리키며 이렇게 한탄했다.

완오리 문화마을 뒤편으로는 지난해부터 일명 ‘벌집’으로 불리는 조립식 주택이 한 채 두 채 들어서더니 지금은 모두 40여 채가 넘게 지어졌다.

조립식 주택은 녹색 벽면, 파란 지붕, 까만 지붕 등 동일한 형태로 10m 정도의 간격을 두고 빼곡하게 자리 잡았다.

마을 인근 야산에는 주택을 더 짓기 위해 터를 닦아 놓은 모습도 보였다. 인접한 유휴지나 논에는 사과나무, 대추나무 등이 띄엄띄엄 심겨 있기도 했다.

집은 40여 채가 넘지만, 해당 조립식 주택에 사는 사람은 거의 발견할 수 없었다. 적막감마저 들 정도로 마을은 조용했다.

이장 A씨는 “며칠 전에도 조립식 주택 한 채가 지어졌다”며 “요즘은 면사무소에 신고만 하면 돼 조립식 주택이 정확히 몇 채인지도 모르겠다”고 했다.

충주 바이오헬스국가산단은 지난해 9월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상태로 올해 하반기 산업단지 계획 승인 신청을 할 계획이다.

2018년 8월 국가산단 선정 뒤 같은해 10월 12일부터 토지거래·개발행위허가 제한 지역으로 묶였다. 부동산 투기를 방지하기 위해서다.

이 마을 토박이 주민은 개발 제한 지역으로 묶이기 직전에 지금의 조립식 주택 터 닦기 공사가 끝났다며 우연이라고 보기에는 석연치 않은 구석이 많다고 꼬집었다.

해당 조립식 주택은 개별 인허가를 거쳐 이 마을에 들어섰다. 규모가 200㎡ 이하, 3층 이하 건물은 면사무소에 신고만 하면 지을 수 있다.

충주시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8년 10월까지 건축신고가 완오리 산 144번지에는 183건, 완오리 888번지에는 58건이 들어왔다. 공사를 미루다가 최근에 준공 신고가 들어오는 경우도 있다고 했다.

충주시와 인접한 음성군은 전날 산단 조성·택지 개발 공무원과 그 가족을 대상으로 투기 여부를 조사한다고 밝혔다.

시 감사담당관실 관계자는 “바이오헬스국가산단 예정지 내 조립주택 난립을 파악해 자체적으로 내부 점검을 하고 있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누가 봐도 장기적으로 거주하는 형태로 건물을 지은 건 아니다”라며 “투기 의혹이 드는 건 사실”이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권한이 없어 개인 거래까지 확인하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덧붙였다.

그런데 음성군은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개인재산 자료조회를 위한 개인정보수집동의서를 받아 토지거래 여부 등을 확인할 계획이어서 충주시가 더 적극적으로 조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문화마을 주민 B씨는 “토박이 주민은 어렵게 농사지어 생활하고 있는데, ‘한탕주의’를 노리는 투기꾼들을 볼 때마다 마음이 무너져 내린다”며 “주민들은 자존심 때문에 자기 땅이 있어도 필요 없는 나무 한 그루 심지 않는다”고 했다.

충북경찰청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자치단체에서 들어온 수사 의뢰나 신고는 없다.


(충주=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