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년생 부모, 2012년·2013년생 두 자녀 위해 3차례 방문해야? [공적 마스크 Q&A]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3월 5일 20시 24분


코멘트
정부는 마스크 물량이 수요에 비해 크게 부족한 만큼 앞으로 한 사람이 살 수 있는 공적 마스크를 일주일에 2장으로 제한하기로 했다. 하지만 중복 구매를 제한할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시간이 걸리고 요일별로 구매를 제한하는 등 방법이 까다로워 혼란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공적 마스크 구매와 관련된 궁금증을 정리했다.

Q. 다음주부터 마스크를 일주일에 2개 밖에 못 사는 건가.

A. 9일부터는 약국에서 일주일 단위(월~일)로 1인당 2개씩만 살 수 있다. 약국에서 2개를 산 사람도 농협하나로마트나 읍면 소재 우체국에 줄을 서면 당분간 하루 1개씩 추가 구매가 가능하다. 그러나 다음주 중 농협과 우체국에 중복구매를 체크하는 시스템이 구축되면 약국, 우체국, 하나로마트를 모두 합쳐서 일주일에 2장만 살 수 있다. 물론 공적 마스크 외에 국내 생산량의 20%를 차지하는 민간 유통 마스크는 일반 마트나 편의점에서 추가로 살 수 있다. 그러나 물량이 크게 줄어 지금보다도 구매가 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Q. 이번 주말까지는 어떻게 하나.

A. 이번 주는 사흘 동안(6~8일) 약국에서 1인당 2매까지 살 수 있다. 우체국, 하나로마트에서도 지금처럼 정해진 시간에 줄을 서서 한 사람당 1장씩 구매할 수 있다. 하나로마트와 우체국의 번호표 배부 시간은 매일 오전 9시 반으로 통일된다.

Q. 언제, 어떻게 살 수 있나.

A. 구매자 본인이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 등 신분증을 갖고 직접 가서 사야 한다. 자신의 출생연도 마지막 숫자에 따라 구매할 수 있는 요일이 다르다. 예를 들어 월요일은 끝자리가 1, 6인 사람, 화요일은 2, 7인 사람이 사는 식이다. 토, 일요일은 주중에 사지 못한 사람만 살 수 있다. 미성년자도 학생증과 주민등록등본을 함께 가져가거나 여권을 가져가서 사야 한다. 외국인은 건강보험증과 외국인등록증을 함께 가져가야 한다. 장애인은 대리인을 통해 구매할 수 있다.

Q. 80대 노부부 둘만 살고 있다. 혹시 자녀에게 부탁해서 대신 살 수 있을까.

A. 불가능하다. 정부는 마스크 물량이 충분하지 않은 점을 고려해 장애인 외에 대리 구매를 허용하지 않기로 했다. 현장에서 줄 서 있는 다른 사람과의 형평성을 고려한 판단이다. 이로 인해 나이가 많아 거동이 불편한 사람도 장애인 등록증이 없으면 무조건 직접 약국 등을 방문해야 마스크를 살 수 있다.

Q. 1981년생인 부모가 2012년생 첫째, 2013년생 둘째를 키우고 있다. 세 사람 몫의 마스크를 사려면 월, 화, 수요일 3차례 방문해야 하나.

A. 아니다. 어린 자녀의 마스크는 부모의 출생연도 숫자에 해당하는 요일에 같이 살 수 있다. 1981년생 부모가 마스크를 살 수 있는 월요일에 약국을 방문해서 마스크 총 6장을 사면된다. 단, 부모의 신분증과 가족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주민등록등본을 지참하고 아이들과 함께 가야 한다.

Q. 마스크 가격은 얼마인가. 마스크를 사지 않은 사람은 다음 주에 추가 구매할 수 있나.

A. 마스크 1장당 1500원으로 가격을 통일할 계획이다. 해당 주간에 마스크를 사지 않은 사람이 다음 주에 4장을 한꺼번에 사는 것은 불가능하다.

Q. 공적 판매처가 아닌 민간에 유통되는 마스크 가격이 더 오르는 건 아닌가.

A. 수요는 많은데 물량이 더 적어지기 때문에 그럴 가능성이 있다. 정부는 생산량의 20%에 해당하는 민간 유통 마스크에 대해서도 관리를 강화하고 시장 교란이 우려될 때 민간 마스크에 가격 상한제를 실시할 계획이다.

Q. 의료진이나 코로나19 고위험군 등 마스크가 더 필요한 사람들에게 물량이 충분히 돌아가야 한다는 지적도 있는데.

A. 정부는 공적으로 확보한 물량 하루 800만 장 가운데 200만 장을 의료나 방역 등 정책 목적을 위해 우선 배분하고 나머지 600만 장을 일반에 공급할 계획이다. 하지만 이번 주 의료기관 100만 장, 대구·경북 지역에 100만 장을 우선 제공했는데도 의료 현장에서는 마스크가 더 필요하다는 요청이 계속돼 공급 부족을 해소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세종=주애진 기자 jaj@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