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도소 주변 교전… 시위대 100명 수용”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12월 23일 03시 00분


코멘트

5·18유족회, 당시 검찰보고서 공개… 보고서에 광주지검장 도장 찍혀
수신참고엔 법무부장관 등 기재… 19일 발굴된 신원불상 유골에선
무연고 묘와 달리 유류품 전혀 없어… 일각 “섣부른 연관성 단정 안돼”

5·18민주화운동 당시인 1980년 5월 22일 광주지검이 광주교도소와 통화한 뒤 작성한 동향보고서 일부.5·18유족회 제공
5·18민주화운동 당시인 1980년 5월 22일 광주지검이 광주교도소와 통화한 뒤 작성한 동향보고서 일부.5·18유족회 제공
옛 광주교도소 터 내 무연고 묘지에서 19일 신원 미상의 유골 40구가 발견된 데 이어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옛 광주교도소 묘지에 시신을 가매장했다는 검찰의 동향보고서가 22일 공개됐다.

5·18민주화운동 관련 단체는 1980년 신군부가 5·18 희생자의 시신 수습반을 따로 운영했다는 기록에 주목하고 있다. 김후식 5·18부상자회장은 “누군가 신원 불상 유골 40구의 신분이 노출되는 것을 막으려고 유류품을 감췄을 가능성도 있다는 조심스러운 의심이 든다”며 “5, 6개월 걸리는 유전자 검사 등을 통해 정확한 사실이 밝혀질 것”이라고 말했다.

옛 광주교도소는 계엄군이 주둔하며 시민군의 시 외곽 진출을 막았던 곳으로 5·18민주화운동 희생자의 암매장 추정 장소로 끊임없이 거론됐던 곳이다. 5·18 직후 광주교도소와 주변에서는 희생자 11명의 시신이 수습됐다. 1980년 5월 말 광주교도소장 관사 주변에서 희생자 시신 8구, 건너편 야산(현재 농수산물 공판장)에서 3구가 발견됐다.

1989년 3공수부대 장교의 제보를 받은 평화민주당 광주특별위원회가 광주교도소에 대한 첫 발굴 조사를 했지만 성과를 내지 못했다. 1995년 서울중앙지검이 5·18 수사를 할 당시 3공수부대 본부 A 씨가 “광주교도소 뒤편에 희생자 12명의 시신을 묻었다”고 진술했다. 김양래 전 5·18기념재단 상임이사는 “A 씨가 검찰 조사에서 광주교도소 암매장을 언급했지만 제대로 조사가 이뤄지지 않아 장소가 특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5·18기념재단은 A 씨의 검찰 조서를 토대로 2017년 11월 옛 광주교도소 발굴 작업을 시작했고 제보가 잇따랐다. 하지만 그 사이 광주교도소의 지형은 많이 변했다. 신원 불상 유골 40구가 발견된 옛 광주교도소 공동묘지 옆에는 1990년대 경비교도대 건물이 신축됐고, 사형제가 폐지되면서 접근하는 길도 없어졌다.

신원 불상 유골 40구는 19일 오전 11시 콘크리트 유골함 위에 흩어지듯 매장된 채 발굴됐다. 5월 단체에 따르면 신원 불상 유골은 콘크리트 함에 들어있던 광주교도소 무연고자 유골과는 다른 특징이 있다.

법무부가 관리하던 무연고자 유골 41구는 1971년 광주교도소가 동구 동명동에서 북구 문흥동으로 이전할 때 합장됐다. 무연고자 유골 41구는 신원 불상 유골보다 많이 부식돼 있었지만 두개골에 구멍이 뚫린 것은 없었다. 신원 불상 유골에는 구멍이 뚫린 두개골이 3개 있다. 박석환 5·18구속부상자회 이사는 “일부 두개골에는 금이 가 있는 듯한 흔적이 있었다”고 말했다.

신원 불상 유골에는 유류품이 없었다. 더 많이 부식된 무연고자 유골에도 고무줄 링, 치료를 받은 치아, 뇌수술을 받은 자국 등 생전 흔적이 있다. 일각에서는 과학적 분석 전에는 신원 불상 유골을 5·18민주화운동과 연관 지어 단정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법무부가 관리하던 무연고자 유골 중에는 신원 불상 유골보다 상태가 더 양호한 것도 있다.

광주=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광주교도소#유골 40구#5·18민주화운동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