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무지게’ 뜻하는 ‘단디’ 全연령층서 40% 이상 쓴다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2월 27일 03시 00분


코멘트

경상대, 지역 언어 사용실태 조사

“에나가? 억수로 마이 내삐따 카는기….(진짜야? 정말 많이 갖다 버렸다는 것이….)”

40여 년 전만 해도 진주를 비롯한 서부 경남에서 쉽게 들을 수 있었지만 요즘은 별로 쓰지 않는 지역어(방언)다. ‘단디(단단히)’ ‘보도시(겨우)’ 등도 마찬가지다.

이는 국립 경상대 박용식 국어문화원장(국어국문학과)이 최근 조사해 발표한 ‘지역어 기초 조사 및 보존방법’ 연구에서도 잘 드러난다. 박 원장은 지난해 11월부터 강현주 박동한 박성희 김국진 씨 등 4명의 연구원과 함께 지역의 대표 언어 사용 양상을 서면 조사했다. 대상은 진주시내 초중고교생과 대학생, 그리고 성인 남녀 등 302명이었다.

‘어디 가?’를 나타내는 ‘오이 가노?’ ‘오이 가네?’는 고교생 이상의 연령층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었고 여고생들은 거의 쓰지 않았다. ‘먹었니?’의 지역어인 ‘묵었나?’ ‘무웃나?’와 관련해 여성들은 ‘먹었어?’라고 하는 형이 우세했지만 ‘무웃나?’도 고루 사용하는 편이었다.

‘에나’는 초중고교생 30% 미만이 사용하고 있었다. 여성은 대학생과 성인의 절반 정도가 알고는 있었지만 쓰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연히’를 뜻하는 지역어 ‘배끼’는 거의 소멸 직전이었다. 중고교생들은 이 말의 뜻을 몰랐고 대학생이나 성인도 사용 비율이 10% 미만이었다.

‘단단히’ ‘야무지게’를 의미하는 ‘단디’는 모든 연령층에서 40% 이상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여대생에 비해 성인 여성들은 이 말을 알고서도 잘 쓰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겨우’ ‘빠듯이’를 뜻하는 ‘보도시’ 역시 소멸 직전이었다. 여성 응답자는 사용자가 한 명도 없었다. 연구팀은 “지역어는 지역 정체성의 핵심이어서 이를 부정하면 지역문화 약화와 정체성 붕괴로 이어진다. 이를 지키고 체계화하며 후세에 전하는 것은 지역민의 당연한 의무”라고 강조했다. 정부의 국어기본법에 따라 진주시 등 지방자치단체도 ‘지역어 보전과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내용의 국어진흥조례를 시행하고 있다.

박 교수는 “우리 지역의 미래인 학생들이 지역어 사용을 부끄러워한다면 이는 교육과 행정의 실패다. 늦기 전에 진주시도 지역어 부흥정책을 펴야 한다”고 말했다.
 
강정훈 기자 manma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