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코드 심어 휴대전화 복사… 전자파 탐지도 피하는 몰카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10월 20일 03시 00분


코멘트

일상으로도 파고든 도-감청

도·감청은 국가 정보기관 첩보전에서뿐만 아니라 우리의 일상 속에도 파고들고 있고 점점 진화하고 있다. 상대방 스마트폰에 악성 코드가 깔리게 한 다음 실시간으로 그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며 위치, 통화 내용, 사진 등 온갖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보안전문업체 ‘프로정보통신’의 이정직 대표는 “휴대전화를 ‘복사’한다고까지 표현한다. 택배나 결혼식 문자메시지를 의도적으로 보내 악성코드가 휴대전화에 깔리게 하는데, 요즘은 문자를 볼 때까지 발신 번호를 계속 바꿔가면서 보낸다”고 했다. 보안전문가인 이원업 한국스파이존 이사는 “휴대전화가 꺼져 있어도 자동으로 켜지게 하는 코드도 있다”고 말했다.

몰래카메라(몰카)나 위치 추적기 등도 마찬가지다. 이정직 대표는 “몰카만 해도 얼마 전까지는 세운상가 등에서 맞춤 제작을 했지만 지금은 알아보기 힘들도록 위장이 돼서, 소리 감지 기능이나 화질까지 업그레이드된 완제품들이 나온다. 최근에는 나사 클립처럼 생긴 몰카도 있다”고 말했다. 이원업 이사는 “몰카가 더 무서운 건 지방자치단체나 경찰 등이 보유한 전자파 탐지 장비로는 렌즈를 식별할 수 없는 것들이 나오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몰카는 특히 모텔 등 숙박업소에 교묘하게 설치돼 피해 사례가 늘고 있다. 남녀의 관계 장면이 담긴 몰카 영상 등이 음성적으로 고가에 팔리고 있어 몰카 기술이 경쟁적으로 진화되는 양상이다. 이 이사는 “점점 ‘리얼리티’가 있는 몰카 영상을 유통했을 때 돈이 되기 때문에 수법이 날로 교묘해지고 있다. 영상 원판 CD가 300만∼500만 원까지 거래되는 등 부르는 게 값이 되면서 몰카가 점점 범죄에 악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이사는 “도·감청이나 몰카 탐지 장비들의 수준이 더 앞서가야 하는데 수사기관이나 지자체들의 예산으로는 따라갈 수 없어 탐지 전문가들의 고가 장비에 의존해야 하는 형편”이라며 일상화된 감시의 공포를 해결하기 위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유재영 기자 elegant@donga.com
#도청#감청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