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부산-대구 등 구도심 범죄 취약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11월 5일 03시 00분


코멘트

우리 동네 얼마나 안전할까… 화재-범죄 등 7개분야 ‘전국 안전지수’ 공개
대구 달성 6개분야서 1등급… 부산 중구-광주 동구 5개분야 최하
“지역특성 고려 안해 반쪽” 지적도

대구 달성군, 부산 기장군, 인천 옹진군처럼 광역시 안에 있는 군(郡) 지역은 전반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도시의 구도심은 상대적으로 안전에 취약했다.

4일 국민안전처가 발표한 17개 시도와 226개 시군구의 지역안전지수를 분석한 결과 달성군은 안전지수 7개 중 6개에서 1등급을 받았다. 안전지수 7개는 화재 교통사고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자살 감염병이다. 기장군과 옹진군, 울산 울주군(이상 1등급 4개)의 안전도도 높은 편이었다. 반면 부산 중구, 광주 동구는 안전지수 5개에서 가장 낮은 5등급을 받았다.

안전지수는 재난약자 수, 의료기관 수 등 35개 지표를 통해 각 지역의 안전도를 1∼5등급으로 상대평가한 수치다. 앞서 안전처는 7월 화재와 교통사고의 안전지수(2013년 통계 기준)를 시범 공개했다. 이번에 처음 공개된 범죄 안전지수를 보면 서울 종로구 중구 영등포구, 부산 동구, 대구 중구 등 대도시 내 구도심이 공통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수도권에서는 경기 북동부의 동두천시 의정부시 연천군 가평군 등이 최하등급을 받아 치안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처는 안전지수를 통해 지자체의 적극적인 안전정책 개발을 유도할 방침이다. 이미 일부 지자체는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지난해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가 전국 2위(29.9명)였던 강원도는 내년부터 이장과 통장 4000여 명을 ‘자살 예방 도우미’로 임명해 산간 지역의 홀몸 어르신을 돌보기로 했다. 전북도는 소방안전교부세 46억 원을 안전지수 개선 사업에 투자하기로 했다. 안전처는 안전지수 개선 성과가 부진할 경우 내년에 절대평가 점수를 공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하지만 안전지수가 실제 지역의 안전도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조원철 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명예교수는 “같은 시 단위에서도 인구, 면적 등 규모 차이가 크다”며 “공업지역과 상업지역의 특색도 다른데 같은 지표로 평가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부산 중구 관계자는 “구도심의 경우 시설이 낡고 병원, 경찰서 등 인프라가 부족해 좋은 평가를 받기 힘든 구조”라며 불만을 터뜨렸다.

전문가들은 안전지수를 통해 현장의 안전정책 강화를 이끌어내려면 기초지자체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창길 인천대 도시행정학과 교수는 “현재 지자체의 안전 관련 부서는 도로 개선 등 민원 처리 역할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며 “재난 예방을 전담하는 인력과 조직을 확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공개된 지역안전지수는 안전처 홈페이지(mpss.go.kr) 등에서 볼 수 있다.

박성민 min@donga.com·최혜령 기자
#서울#부산#대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