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핸디캡 극복한 전북대의 ‘융합 DNA’

  • 동아일보
  • 입력 2012년 11월 12일 03시 00분


코멘트

하버드大교수 배출… 취업률 100%… SCI 논문 年 100편…

“저도 세계적인 과학자가 돼 하버드대 교수가 되고 싶습니다.”

지난해 11월 학부 신입생을 선발하는 면접시험 자리에서 ‘어떤 인재로 성장하고 싶은가’라는 면접관의 질문에 한 지원자가 이렇게 답했다. 대답을 듣고 놀란 면접관은 없었다.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상황은 KAIST, 서울대, 포스텍 등 과학기술 분야에서 손꼽히는 대학에서 일어난 것이 아니다. 지방대인 전북대 고분자나노공학과에서 있었던 일이다.

실제로 이 학과 93학번인 최학수 박사가 2011년 8월 하버드대 의대 조교수로 임용됐다. 양대혁 가톨릭대 의대 연구교수(96학번), 김순희 아주대 의대 연구교수(99학번)도 이 학과 출신이다.

전북대 고분자나노공학과는 ‘1년간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 학술지 게재 논문 100편 이상 발표’ ‘졸업생 취업률 100%’ 등 유명대도 하기 힘든 성과를 내고 있다.

흔히 지방대라고 하면 연구 활동을 위해 대학원에 진학하는 학생이 드물고, 장비나 예산도 부족해 제대로 연구가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국내 지방대에서 이런 편견을 깨고 세계적인 수준의 인재를 배출하고 연구 성과를 내는 학과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전북대 고분자나노공학과는 고분자와 나노소재 공학을 기본으로 하는 융합학과로 1993년 설립됐다. 정보기술(IT), 생명공학기술(BT), 나노기술(NT) 외에도 의용생체공학, 디스플레이, 신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연구를 한다.

학과장인 강길선 교수는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취업한 졸업생 등이 서로 밀어 주고 끌어 주는 덕분에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처음부터 성과가 난 건 아니다. 1993년 학과 설립 당시 교수는 3명뿐이었다. 1999년 대학원을 설립할 때는 대학원생 7명으로 출발했다. 초대 학과장인 이종문 명예교수는 “전북지역 고등학교를 모두 돌면서 학생을 모집했고 대학원생 유치를 위해 학부 졸업생 부모를 설득했다”고 회고했다.

현재 전북대 고분자나노공학과의 교수는 9명, 대학원생은 104명이다. 연간 SCI 저널 게재 논문은 2000년 10편에서 2004년에는 79편으로, 지난해는 이 학과에서 파생된 ‘BIN 융합공학과’ 연구를 포함해 118편으로 증가했다.

지방대 신설 학과가 빠른 속도로 국내 유명대 수준으로 올라선 비결로 전공의 벽을 넘은 ‘융합 연구문화’를 꼽을 수 있다. 학생에게 다양한 학문을 가르치기 위해 교수를 채용할 때 출신과 전공이 겹치지 않게 했다. 또 학부 수업과 대학원 연구 과정을 연계해 연구와 교육을 통합적으로 실시한 것도 힘이 됐다.

▼ 경북대 물리 - 동의대 화학과도 ‘세계 수준’ ▼

정부의 과학기술연구비 지원이 늘어난 점도 최대한 활용했다. 2006년 교육과학기술부의 지원 제도인 ‘BK21 중형과제’(고분자소재 BIN융합연구)에 선정돼 연간 2억5000만 원씩 7년간 총 17억5000만 원의 연구비를 확보했다. 2009년에는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WCU) 육성사업’에서 지방대 4곳 중 1곳으로 뽑혀 미국 하버드대 의대, 조지아대 공대, 국립홍콩대, 홍콩과기대 등과 함께 ‘BIN융합공학과’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교수 9명 중 7명이 BIN융합공학과 교수를 겸임하고 있다.

전북대 고분자나노공학과에서 파생된 BIN융합공학과 교수 1인당 SCI 논문 게재 건수는 지난해 기준 14.57건으로 서울대 분자의학 및 바이오제약학과(14.83건), 포스텍 첨단원자력공학부(14건)와 맞먹는다. 경북대 물리학과, 동의대 화학과, 충북대 약학과, 경상대 수학교육과, 부경대 화학과 등의 지난해 교수 1인당 평균 SCI 논문 건수도 12건 이상이다. 그만큼 교수들의 연구가 활발하고 수준도 유명대에 뒤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경현 영남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학부생이 SCI 논문을 쓸 수 있도록 지도해 화제가 되기도 했으며 조은경 충남대 의대 교수는 결핵균과 관련된 세계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근재 교과부 기초연구정책관은 “지방대 발전 방안을 마련하는 등 연구개발(R&D) 지원을 늘려 왔다”며 “지역경제 생태계가 과학기술 중심형으로 조성될 수 있도록 지방대에 대한 지원을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전주=박태진 동아사이언스 기자 tmt1984@donga.com  
김규태 동아사이언스 기자 kyoutae@donga.com
#전북대#하버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