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신! 경기 서해안]서해안 간척지, 친환경 첨단 에너지-자동차 산업단지로 부활

  • Array
  • 입력 2011년 2월 15일 03시 00분


코멘트

시화호 대송지구-화성호 화성지구 일대

《서해안 간척지가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탈바꿈한다. 한국의 신성장 동력이 될 그린기술 및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메카로 변신하고 있기 때문. 대상은 경기 안산시 대부동 일대 시화호 간척지 중 대송지구와 화성시 서신면 일대 화성호 간척지 중 화성지구. 각각 4389만 m²(약 1330만 평)과 6204만 m²(약 1880만 평)에 이른다. 주로 농업용지로 활용하기 위해 조성됐지만 서해안권 개발의 밑바탕이 되고 있다. 바로 이곳에 경기도가 경쟁력을 갖춘 초일류 첨단산업
벨트 구축을 꿈꾸고 있다.》
○ 그린기술 연구개발(R&D) 기반 구축


경기 화성시 화성호 간척지에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등 그린카 연구 개발단지 조성이 추진된다. 사진은 국내에서 생산된 그린카.
경기 화성시 화성호 간척지에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등 그린카 연구 개발단지 조성이 추진된다. 사진은 국내에서 생산된 그린카.
정부는 2015년까지 4조8000억 원을 투자해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등 그린카 120만 대 생산, 수출 90만 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린카 4대 기술강국 도약을 꿈꾸고 있다. 또 각종 세제지원 및 보급정책을 통해 2015년 그린카 누적 보급대수를 139만5500대까지 늘릴 방침이다. 5년 뒤인 2020년에는 다시 365만2000대까지 높일 계획이다.

정부는 2015년 공공 및 상용분야 전기차 충전기를 2만 개가량 구축하고 5년 뒤인 2020년에는 135만여 개로 늘릴 방침이다. 수소충전기도 2015년 4만3000개에서 16만8000개로 확대 설치된다. 그린카 연구개발 지원을 통해 전기차 모터, 공조, 부품경량화, 배터리 외 하이브리드카 동력전달장치 같은 핵심 부품과 시스템 등을 2015년까지 완전 국산화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이처럼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그린카 시장을 타깃으로 하는 ‘그린카 연구개발단지’ 조성을 추진 중이다. 대상지역은 화성시 화성호 간척지 내 화성지구 660만 m²(약 200만 평). 주변에는 현대기아차 남양연구소가 있다. 연구개발 거점지구로 발돋움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춘 셈이다.

화성지구에는 308만9000m²(약 94만 평) 규모의 ‘푸드&바이오 R&D단지’도 함께 추진된다. 전통음식을 개량해 다양한 기능성 신메뉴를 만들고 상품화하기 위한 시설이 들어선다. 또 의료 및 제약 분야 연구개발 단지도 함께 조성된다. 그린카 연구개발단지와 푸드&바이오 연구개발단지는 바로 옆 화성시 마도면 바이오밸리산업단지와 함께 녹색 신성장산업을 이끌어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 화성 바다농장

경기 화성시 화옹 간척지에는 ‘화성 바다농장’이 들어선다. 이 곳에서는 승용마나 경주마 생산 및 관리도 이루어진다,
경기 화성시 화옹 간척지에는 ‘화성 바다농장’이 들어선다. 이 곳에서는 승용마나 경주마 생산 및 관리도 이루어진다,
화옹 간척지 화성지구에는 ‘화성 바다농장’이 조성된다. 화성 바다농장은 농축산업에 생산, 연구, 가공, 유통, 레저 및 관광 등을 결합한 ‘6차산업’의 개념이다. 저탄소 에너지 자족형 농업모델을 지향한다. 785만 m²(약 240만 평)에 축산업 연구개발단지와 승용마 생산 및 경주마 휴양·조련단지, 수출용 유리온실 및 경관농업 단지, 한우 번식우 단지 등이 들어선다. 바다공원에는 아쿠아리움, 시푸드센터, 양식단지, 수산연구단지 등이 건립된다.

체재형 주말농장과 세계농촌마을 등 관광과 체험을 위한 시설도 조성된다. 총사업비 3954억 원을 투입해 2013년에 완공할 예정이다. 화성 바다농장이 조성되면 연간 220만 명의 관광객 유치가 기대된다. 또 8600억 원의 부가가치 및 8700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예상된다.

○ 신재생에너지 산업단지



시화지구 간척종합개발사업을 통해 탄생한 시화호는 당초 담수호(淡水湖)로 만들어져 근처 간척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그러나 주변 공장의 하수가 대거 유입되면서 심각한 수질오염 문제가 발생했다. 시화호와 인접 바다에 살던 동식물이 떼죽음을 당하면서 시화호는 ‘죽음의 호수’로 불렸다. 간척사업 실패에 따른 대표적인 환경오염 사례로 꼽혔다. 결국 1998년 11월 정부는 시화호 담수화를 포기했고 2001년 2월 해수호로 결론을 내렸다. 한때 죽음의 호수로 불리던 시화호 일대를 녹색복합지구로 탈바꿈하는 계획이 추진 중이다. 경기도는 시화호 간척지 대송지구 264만 m²(약 80만 평)에 ‘대부·선감 신재생에너지 산업단지’ 조성 방안을 마련했다. 간척지 용도변경을 전제로 2015년부터 2022년까지 이곳에 신재생에너지 관련 산업과 녹색 농생명산업의 생산 및 연구개발단지를 만든다는 것. 지구온난화에 대응하기 위한 대표적인 사업모델이라는 평가 외에 시화호가 ‘생명의 호수’로 거듭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 신재생에너지 복합 체험지구

시화호 간척지 대송지구를 중심으로 시화호 일대에는 총 912만3000m²(약 276만 평)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복합 체험지구’가 조성된다. 세계 최대의 조력발전소와 국내 최초의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중심으로 다시 살아난 시화호의 생태계를 연계해 신재생에너지 및 환경 관련 교육과 홍보, 체험의 메카로 만든다는 것이 경기도의 구상이다.

우선 2022년까지 단계적으로 4만2000m²(약 1만3000평) 규모의 ‘환경박물관을 비롯해 20만5000m²(약 6만2000평) 크기의 ‘이-사이언스(E-science) 파크’ 등이 건립된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기술이 적용된 생활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마을도 조성된다. 약 49만 m²(약 15만 평)로 주민들이 직접 참여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2015년까지 대송지구에는 ‘신재생에너지 테마파크’와 ‘에어파크’를 조성하는 계획도 검토 중이다. 각각 394만 m²(약 120만 평)와 333만 m²(약 100만 평)에 이르는 대규모 사업이다. 신재생에너지 테마파크는 태양광, 연료전지 등 그린에너지 연구단지와 녹색기술 테마파크 등으로 이뤄진다. 에어파크에는 경비행기 전용비행장과 패러글라이딩 활공장 등으로 구성된 ‘에어콤플렉스’가 들어선다.

이성호 기자 starsky@donga.com
▼“농업-비농업 50대50으로 완화··· 생태농업-녹색에너지 산업 함께 키우자”▼

경기도, 간척지 용도변경 농림부와 협의중


이번 경기도 서해안개발 종합계획의 운명은 사실상 시화호 간척지(대송지구)와 화성호 간척지(화성지구)의 간척지 용도변경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안산시 대부동 일원 시화호 간척지 중 대송지구는 면적이 4389만 m²(약 1330만 평), 화성시 서신면 일원의 화성호 간척지 중 화성지구는 6204만 m²(약 1880만 평)으로 모두 1만593만 m²(약 3210만 평)이다. 경기도는 이 간척지에 친환경 첨단 에너지 및 자동차산업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그린카 연구개발단지와 푸드&바이오 연구개발단지, 대부선감 신재생에너지 산업단지, 신재생에너지 테마파크, 에어파크 등이 그것이다.

경기도는 이곳을 수십조원이 투자되고 막대한 경제파급 효과가 기대되는 향후 국내 에너지산업의 메카로 육성할 포부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 간척지는 현행법상 농업용지 용도로 밖에 쓸 수 없다. 현재 농림수산식품부는 농지조성 목적으로 매립한 간척지를 농업용도 외에 전용하는 것에는 반대하고 있는 입장이다. 농림부 관계자는 “경기도와 실무 협의 중이지만 간척지는 당초 목적대로 농업 및 농업관련 분야에 한 해 사용하는 게 맞다는 게 아직까지 공식 입장”이라며 난색을 표했다. 경기도는 이 문제를 풀기위해 김문수 지사가 김황식 국무총리와 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에게 건의하는 한편 실무자들은 수 차례에 걸쳐 농림부 담당자들과 협의를 진행 중이다.

경기도는 이 간척지의 용도를 농업용도에서 첨단 산업단지는 물론이고 관광 레저용지가 가능한 복합용도로 활용하자는 주장이다. 김재훈 경기도 비전기획관실 특별과제담당은 “녹색에너지 사업은 그린기술을 토대로 한 친환경 산업인 만큼 생태농업의 목적과도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며 “농업과 비농업 비중을 50 대 50으로 완화해 생태농업도 살리고 녹색에너지산업도 함께 키우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경기도는 이 간척지에 생태관광농업단지와 유기농산물 재배단지, 농식품 연구개발(R&D) 단지, 바다농장, 수출원예 및 화훼단지 등 농업관련 산업도 조성할 구상을 가지고 있다. 또 2018년까지 수도권 내 추가 산업용지가 4950만 m²(약 1500만 평)이 더 필요한데 마땅히 산업용지를 구할 데가 없다는 점도 경기도의 주장이 설득력을 갖게 하는 요인이다.

남경현 기자 bibulu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