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번영1번지/경남] 최충경 경남상공회의소협의회장

  • Array
  • 입력 2010년 8월 6일 03시 00분


코멘트

“밀양공항, 영남권 신성장산업 유치에 기폭제… 접근성-경제성 모두 자신”


“경제적인 건설이 가능하고 개항 이후 접근성이 뛰어나다. 장래 수요에 대비한 확장성 등에서도 유리하다.”

경남도내 11개 상공회의소 협의회장을 맡고 있는 최충경 창원상의회장(64·사진)은 “경남도와 밀양시, 울산 및 대구시, 경북도가 힘을 합쳐 동남권 신공항 밀양 유치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영남권에 신공항이 필요한 이유는….

“김해공항은 2025년경이면 시설용량을 초과해 장래 항공수요를 감당할 수 없다. 또 국제항공 수요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기 때문에 일본이나 중국 등 인근 국가들과의 경쟁에서 국제항공운송산업의 주도권 선점을 위해서도 그렇다.”

최 회장은 “영남권 국제항공화물과 국제여객 대부분이 인천공항을 이용할 수밖에 없어 내륙 이동에 따른 불편과 함께 추가 부담해야 하는 접근비용이 2025년까지 연평균 6000억 원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새로운 공항을 짓고도 남는 비용을 부담하면서 영남권에서만 계속 불편과 희생을 감수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설명.

―기업체들 불편도 크다는데….

“영남권에는 국가산업단지 14개와 일반산업단지 83개, 외국인 투자전용 산업단지 3개가 있다. 그러나 해외로 직접 연결되는, 제대로 된 국제공항이 없어 신성장동력 산업을 유치하기도 어렵고, 성공기반을 제공할 수도 없다.”

그는 “국가 항공기능이 한 곳에만 집중되면 위기상황에 대처할 수 없는 약점이 생기게 된다”며 “기상악화, 사고발생 등 위기상황에도 국가 항공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대체공항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동남권 신공항은 허브기능을 갖춰야 하는가.

“수요에 따라 점진적으로 기능과 역할을 확장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인천공항은 장거리 국제노선에 대한 허브화를 담당하고, 일부 중·단거리 국제노선과 저가항공사(LCC)의 허브 기능은 동남권 신공항으로 조정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동남권 신공항을 놓고 영남권 5개 시도가 왜 다른 주장을 하나.


“작년 초까지만 해도 영남권 5개 시도가 공조했다. 부산은 2005년경 시도별로 추진하던 신공항 건설을 5개 시도가 함께할 것을 제의하면서 신공항 입지를 부산지역으로 고집하지 않겠다고 한 바 있다. 2009년에는 부산시 제의로 정부의 신공항 입지선정 결과를 대승적으로 수용한다는 합의를 했지만 부산만이 납득할 수 없는 이유로 서명을 거부하고 가덕도를 고집하고 있다.”

―부산지역에서는 가덕도가 훨씬 장점이 많다고 주장하는데….


“해상공항을 건설하면 소음피해가 없고, 신항만과 연계된 물류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가덕도 북쪽 항공기 진출입 공간에 신호·명지 주거단지가 조성돼 있어 항공기 소음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신항만 물류와 연계한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도 문제가 있다. 한국은 해공(海空) 복합화물 발생량이 매우 적고 대부분의 해공 화물이 중국 동부와 연결되는 인천항과 인천공항에서 발생하고 있다.”

최 회장은 “가덕도는 수심이 깊어 매립용 골재를 확보하기 위해 밀양보다 더 많은 산을 절개해야 된다. 바다와 육지환경 모두가 파괴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가덕도 북측 을숙도는 철새 도래지가 있으며, 가덕도는 생태자연이 1등급이므로 환경성 측면에서 보호돼야 할 지역”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역 갈등 해소와 관련해 “국가적이고 광역적 현안을 지역이기주의로 편 가르기해서는 공멸할 수밖에 없다는 위기의식을 가져야 한다”며 “올해 초 상생협약을 체결한 부산과 경남이 서로 흠집 내기를 하지 말고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결과를 수용하자는 합의부터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정훈 기자 manma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