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거 종합해볼 때 北어뢰 기습 이외 달리 설명할 수 없다”

  • Array
  • 입력 2010년 5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천안함 침몰사건 민군 합동조사단 결과 발표<全文>

처참한 천안함 절단면 국방부가 20일 공개한 천안함 절단면 사진. 함수와 함미의 절단면에 전선 수백 가닥이 축 늘어져 있는 등 내부가 심하게 파손돼 있다. 이 같은 절단면 모습은 내부 폭발이 아님을 보여준다는 게 군의 설명이다. 사진 제공 국방부 민군 합동조사단의 윤종성 과학수사분과장(육군 준장)이 20일 국방부에서 천안함 침몰 사건의 조사결과를 발표하는 도중 서해 백령도 인근에서 수거한 북한산 어뢰 잔해(유리 상자 안)의 원래 형태를 설계도와 비교해 설명하고 있다. 이날 발표 현장에는 외신기자들을 포함해 취재진 100여 명이 몰렸다. 연합뉴스
처참한 천안함 절단면 국방부가 20일 공개한 천안함 절단면 사진. 함수와 함미의 절단면에 전선 수백 가닥이 축 늘어져 있는 등 내부가 심하게 파손돼 있다. 이 같은 절단면 모습은 내부 폭발이 아님을 보여준다는 게 군의 설명이다. 사진 제공 국방부 민군 합동조사단의 윤종성 과학수사분과장(육군 준장)이 20일 국방부에서 천안함 침몰 사건의 조사결과를 발표하는 도중 서해 백령도 인근에서 수거한 북한산 어뢰 잔해(유리 상자 안)의 원래 형태를 설계도와 비교해 설명하고 있다. 이날 발표 현장에는 외신기자들을 포함해 취재진 100여 명이 몰렸다. 연합뉴스
《민군 합동조사단은 국내 10개 전문기관의 전문가 25명과 군 전문가 22명, 국회 추천 전문위원 3명, 미국 호주 영국 스웨덴 4개국 전문가 24명이 참여한 가운데 과학수사, 폭발유형분석, 선체구조관리, 정보분석의 4개 분과로 나누어 조사활동을 실시했다. 오늘 발표 내용은 조사단에 참여한 국내외 전문가들이 과학적·객관적 접근방법을 통한 조사활동과 검증과정을 거쳐 도출한 결과다.》

■ 조사 - 분석 결과

현재까지 해저로부터 인양한 선체의 변형 형태와 사고 해역에서 수거한 증거물들을 조사 및 분석한 결과를 보면 천안함은 가스터빈실 좌현 하단부에서 감응어뢰의 강력한 수중폭발에 의해 선체가 절단돼 침몰한 것으로 판단된다.

■ ‘어뢰 피격’ 판단 이유

침몰 원인을 어뢰 피격으로 판단한 이유는 선체 손상 부위를 정밀계측하고 분석해 보았을 때 충격파와 버블효과로 인해 선체의 용골이 함정 건조 당시와 비교해 위쪽으로 크게 변형됐고 외판은 급격하게 꺾이고 선체에는 파단된 부분이 있었다. 주갑판은 가스터빈실 내 장비의 정비를 위한 대형 개구부 주위를 중심으로 파단됐고, 좌현측이 위쪽으로 크게 변형됐으며, 절단된 가스터빈실 격벽은 크게 훼손되고 변형됐다. 함수, 함미의 선저가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꺾인 것도 수중폭발이 있었다는 것을 입증한다.

함정 내·외부의 표면을 면밀히 조사한 결과 함정이 좌우로 심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해주는 함 안정기에 나타난 강력한 압력 흔적, 선저 부분의 수압 및 버블 흔적, 열 흔적이 없는 전선의 절단 등은 수중폭발에 의한 강력한 충격파와 버블효과가 함정의 절단 및 침몰의 원인임을 알려주고 있다.

생존자와 백령도 해안 초병의 진술 내용을 분석한 결과 생존자들은 거의 동시적인 폭발음을 1, 2회 청취했으며 충격으로 쓰러진 좌현 견시병의 얼굴에 물이 튀었다는 진술과 백령도 해안 초병이 2, 3초간 높이 약 100m의 백색 섬광 기둥을 관측했다는 진술 내용 등은 수중폭발로 발생한 물기둥 현상과 일치했다.

사체 검안 결과 파편상과 화상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고 골절과 열창 등이 관찰되는 등 충격파 및 버블효과의 현상과 일치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지진파와 공중음파를 분석한 결과 지진파는 4개소에서 1.5 규모로 감지됐으며, 공중음파는 11개소에서 1.1초 간격으로 2회 감지됐다. 지진파와 공중음파는 동일 폭발원이었으며, 이것은 수중폭발에 의한 충격파와 버블효과의 현상과 일치한다.

수차례에 걸친 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하면 수심 6∼9m 가스터빈실 중앙으로부터 대략 좌현 3m의 위치에서 총폭발량 200∼300kg 규모의 폭발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백령도 근해 조류를 분석해 본 결과 어뢰를 활용한 공격에 제한을 받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

침몰해역에서 어뢰로 확증할 수 있는 결정적인 증거물로 어뢰의 추진동력부인 프로펠러를 포함한 추진모터와 조종장치 등을 수거했다. 이 증거물은 북한이 해외로 수출할 목적으로 배포한 어뢰 소개 자료의 설계도에 명시된 크기와 형태가 일치했으며 추진부 뒷부분 안쪽에 ‘1번’이라는 한글표기는 우리가 확보하고 있는 북한의 어뢰 표기방법과도 일치한다. 이러한 모든 증거는 수거한 어뢰 부품이 북한에서 제조됐다는 것을 확인해 줬다.

■ 합조단의 결론

이러한 결과는 일부에서 지속적으로 제기해 온 좌초나 피로파괴, 충돌, 내부폭발과는 전혀 관련이 없음을 확인해 줬다.

결론적으로 침몰해역에서 수거된 결정적 증거물과 선체의 변형 형태, 관련자들의 진술 내용, 사체 검안 결과, 지진파 및 공중음파 분석 결과, 수중폭발의 시뮬레이션 결과, 백령도 근해 조류 분석 결과, 수집한 어뢰 부품들의 분석 결과에 대한 국내외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 보면 △천안함은 어뢰에 의한 수중 폭발로 발생한 충격파와 버블효과에 의해 절단돼 침몰됐고 △폭발 위치는 가스터빈실 중앙으로부터 좌현 3m, 수심 6∼9m 정도이며 △무기체계는 북한에서 제조한 고성능폭약 250kg 규모의 어뢰로 확인됐다.

■ 다국적팀 확인 사실

5월 4일부터 운영해 온 미국, 호주, 캐나다, 영국 등 5개국의 ‘다국적 연합정보분석TF’에 의해 확인된 사실은 다음과 같다.

북한군은 로미오급 잠수함(1800t급) 20여 척, 상어급 잠수함(300t급) 40여 척과 연어급(130t급)을 포함한 소형 잠수정 10여 척 등 총 70여 척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번에 천안함이 본 피해와 동일한 규모의 충격을 줄 수 있는 총폭발량 200∼300kg 규모의 직주어뢰, 음향 및 항적유도어뢰 등 다양한 성능의 어뢰를 보유하고 있다.

이 같은 사실과 사건 발생 해역의 작전환경 등을 고려해 볼 때 이러한 작전환경 조건에서 운용하는 수중무기체계는 소형 잠수함정으로 판단된다. 또한 서해의 북한 해군기지에서 운용되던 일부 소형 잠수함정과 이를 지원하는 모선이 천안함 공격 2, 3일 전에 서해 북한 해군기지를 이탈했다가 천안함 공격 2, 3일 후에 기지로 복귀한 것이 확인됐다.

다른 주변국의 잠수함정은 모두 자국의 모기지 또는 그 주변에서 활동하고 있었던 것이 확인됐다.

5월 15일 폭발 지역 인근에서 쌍끌이 어선에 의해 수거된 어뢰의 부품들인 각각 5개의 (날개를 가진) 순회전 및 역회전 프로펠러, 추진모터와 조종장치는 북한이 해외로 무기를 수출하기 위해 만든 북한산 무기소개책자에 제시돼 있는 CHT-02D 어뢰의 설계 도면과 정확히 일치한다. 이 어뢰의 후부 추진체 내부에서 발견된 ‘1번’이라는 한글표기는 우리가 확보하고 있는 또 다른 북한산 어뢰의 표기방법과도 일치한다.

러시아산 어뢰나 중국산 어뢰는 각기 그들 나라의 언어로 표기한다. 북한산 CHT-02D 어뢰는 음향항적 및 음향 수동추적방식을 사용하며 직경이 21인치이고 무게가 1.7t으로 폭발장약이 250kg에 달하는 중(重)어뢰다.

이러한 모든 관련 사실과 비밀자료 분석에 근거해 천안함은 북한제 어뢰에 의한 외부 수중폭발의 결과로 침몰됐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또한 이상의 증거들을 종합해 볼 때 이 어뢰는 북한의 소형 잠수함정으로부터 발사됐다는 것 이외에 달리 설명할 수가 없다.

2010년 5월 20일 민군 합동조사단




▲ 동영상 = 北어뢰 파편 공개…천안함 침몰 결정적 증거





▲ 동영상 = 처참한 천안함 절단면…北 중어뢰 공격으로 침몰
:: 감응어뢰 ::

목표물에 닿지 않고 수중에서 폭발해 버블제트(bubble jet)를 일으키며 충격을 줘 목표물을 파괴하는 방식의 어뢰. 어뢰는 폭발 방식에 따라 감응어뢰와 목표물에 부딪치는 동시에 폭발하면서 타격을 주는 충격어뢰로 나뉜다.

:: 버블제트 효과 ::

어뢰나 기뢰가 선체를 직접 맞히지 않고 일정 거리를 두고 선박 아래 해저에서 폭발해 이때 발생하는 수압, 중력, 부력 등이 연쇄 작용해 선체를 밀어 올리는 현상. 충격이 선체에 가해질 때 강력한 압력으로 선체가 두 동강 날 수 있다.

:: 지진파와 음파 ::

지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움직임이 지진파, 물 공기 등을 통해 전파되는 파동이 음파이다. 핵실험이나 미사일 발사 같은 강력한 폭발 순간 인공지진파와 음파가 같이 발생한다. 민군 합동조사단은 천안함 피격 당시 1.1초 간격으로 음파가 두 차례 감지됐다고 밝히면서 처음 음파는 수중폭발에 의한 1차 충격파에 의한 것이고 두 번째는 버블제트 효과로 생긴 것으로 설명했다.

:: 선박 용어 ::

―용골(龍骨)=선수에서 선미까지 선체 중심선을 따라 배 바닥을 받치는 길고 큰 골조.

―개구부(開口部)=채광, 환기, 통풍, 출입을 위해 벽을 치지 않은 부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