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우기 누가 발명? 장영실 아닌 문종

  • Array
  • 입력 2010년 5월 13일 12시 23분


코멘트

내일 세종대왕 탄신 613돌 기념 세미나

측우기. 동아일보 자료사진
측우기. 동아일보 자료사진
측우기가 조선 세종대에 발명돼 강우량측정이 이뤄졌다는 사실은 우리나라 국민 대부분이 알고 있다.

그러나 측우기의 발명자가 장영실이 아니라 세종의 장남인 문종이라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조선왕조실록 세종23년 4월 을미(양력 1441년 5월 28일) 기록을 보면 "근년 이래로 세자가 가뭄을 근심하여 비가 올 때마다 비온 뒤에 땅을 파서 젖어 들어간 깊이를 재었으나 정확하게 푼수를 알 수 없었으므로 구리로 만든 원통형 기구를 궁중에 설치하고, 여기에 고인 빗물의 푼수를 조사했다"고 돼 있다.

4개월 뒤에는 호조가 구리 측우기의 규격을 정하고 현 단위까지 구체적 측정 장소를 지정하는 방안을 내놓았고, 이를 세종이 그대로 받아들여 세계 최초로 전국적 강우량 관측 망이 구성됐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세종 혹은 장영실이 측우기를 발명했다고 알고 있으나 이런 속설을 뒷받침하는 당대 문헌 기록은 없다. 제작 과정에 장영실 등이 관여했을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나 150여년 뒤 만들어진 아산 장씨 족보를 제외하면 이를 입증할만한 근거가 없다는 것이다.

측우기를 이용한 전국적 강우량 관측망은 임진왜란을 계기로 무너졌다가 영조대인 1770년에 서울과 8도 관찰사영과 유수부 등에 재건됐다.

관측 기록 상당수는 임진왜란과 조선 말기의 혼란으로 소실됐지만 1770년 이후 서울의 강우량 기록은 거의 완벽히 남아 있어 기후 장기변동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쓰인다.

측우기 관측 기록을 근거로 기후 변동을 추적해 주기성이나 태양 흑점 등 천문 현상과의 연관을 찾으려고 시도하는 연구도 종종 나오며, 이를 근거로 2030년대에 우리나라에 가뭄이 올 개연성을 거론하는 학자도 있다.

기상청은 14일 서울 홍릉 세종대왕기념관에서 '세종대왕 탄신 613돌 기념 측우기와 측우대 세미나'를 열어 이런 연구들을 소개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측우기와 받침대인 측우대, 그리고 이를 이용한 조선시대의 강우량 측정에 관한 발표도 함께 이뤄진다.

기상청 관계자는 13일 "이번 세미나는 우리 선조들이 이룩해 놓은 기상 역사를 돌이켜 보고 보존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터넷 뉴스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