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理知논술/독서로 논술잡기]‘웃음의미학’

  • 입력 2008년 7월 14일 02시 56분


◇ ‘웃음의미학’/류종영지음/유로

초상난 데 춤추기, 불난 데 부채질하기, 해산한 데 개 잡기 등 놀부의 심술을 묘사한 대목을 보면 웃음이 나온다. 주체의 행동이 상황과 맞지 않기 때문이다. 웃음은 자신의 존재감을 확인시켜 준다. 문학에서 골계나 해학을 중시한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이 책은 ‘웃음’을 학문적으로 연구하여 제시한다. 다음의 글을 논술과 관련하여 생각해보자.

(가) 웃음을 유발하는 동기는 항상 새로워야 하며 예기치 않은 것이어야 한다. 이때 웃음은 다른 사람의 희생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그 때문에 토머스 홉스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한다. 웃음의 열정은 갑작스러운 영광에 다름 아니다. 이는 다른 사람들의 결함이나 우리 자신의 이전의 결함과 비교하여 우리 자신 내에서 그 어떤 우월함에 대한 어떤 갑작스러운 착상에 의해 일어난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그들 자신의 과거의 어리석은 행위들이 현재의 불명예를 안겨주지 않는 한 이 어리석은 행위들이 갑자기 회상될 때 웃기 때문이다. (127쪽)

(나) 웃음이라는 외적인 징후를 가져다주는 즐거운 감상이나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것들의 특성이 무엇인가라고 묻는다면, 필자(제임스 비티)는 어떤 상관관계 혹은 하나로 결합된 것으로 생각되는 동일한 것들의 집단에서 흔치 않은 혼합과 불일치로 나타나는 것이라고 대답하겠다. 또 그러한 결합이 언제나 웃음을 일으키게 할 수 있느냐고 묻는다면 이를 지각할 때 다른 좀 더 큰 권위를 갖고 있는 감정이 수반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것은 언제나 혹은 대부분 웃음을 유발할 수 있는 감정을 불러일으킨다고 대답하겠다. (181쪽)

(가)는 토머스 홉스의 ‘웃음의 우월이론’이다. 다른 사람의 결함이나 자신이 이전에 가졌던 결함과 비교하여 우월감을 느낄 때 나타나는 웃음을 의미한다. (나)는 제임스 비티의 ‘웃음의 불일치이론’이다. 그는 대상과 상황에 대한 적합함과 부적합함의 대비가 웃음의 원인이라고 말한다.

이제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스스로 논제를 만들고 답안까지 작성해보자.

① ‘(가)의 웃음의 우월이론이 논쟁이 될 수 있는 상황을 설명하고, 그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시오’를 만들어보자.

(가)의 ‘웃음의 우월이론’은 다른 사람의 불행이나 결점을 보고 기뻐하는 마음에서 유래된 웃음을 말한다. 이 웃음 이론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모든 인류에게 통용된다. 그러나 웃음거리가 된 사람의 입장에서는 비하되거나 조롱받는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논쟁이 예상된다. 우월한 입장에서 생긴 갑작스러운 웃음은 진정한 웃음이 아니다. 사회적 관계에 냉정하게 적용된 비웃음, 또는 잔혹한 웃음일 수 있기 때문이다.

② ‘(나)와 (나)에 내재된 웃음의 미학이 무엇인지 밝히고, 그것이 현대인들에게 주는 시사점을 사례를 들어 제시하시오’를 생각해보자.

(가)와 (나)의 웃음 이론은 인간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킨다. 인간의 자연적인 정서, 친절한 본능, 정직성 등이 바로 그것이다. 그 결과 웃음은 미워하는 사람을 이해하고 사랑하도록 만든다. 로마 시대부터 이어지는 웃음 이론은 오늘날에는 더욱 유효하다. 웃음은 이기적, 경쟁적인 관계에서 비롯되는 현대인들의 스트레스에 특효약이다. TV 개그 프로그램이 높은 인기를 누리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웃음은 대상을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웃음의 긍정적 에너지는 현대인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책은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부터 20세기까지 서양의 웃음이론을 다루며 웃음의 진정한 힘을 깨닫게 해준다. 웃음은 문예학, 윤리학, 인류학, 생리학, 수사학, 철학, 심리학, 사회학 등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웃음이야말로 인간이 보유한 최고의 본성이기 때문이다. 웃음은 진정한 인간임을 증명하는 보증수표다. 웃음이 현대 사회에서 필요한 진짜 이유다.

이도희 송탄여고 국어교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