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경북과 경제 대협력이 ‘상생의 길’

  • 입력 2007년 6월 20일 06시 50분


코멘트
《지난해 3월 대구시와 경북도는 ‘함께 잘살자’를 표방하며 경제통합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후 대구시와 경북도는 경제 분야를 중심으로 관련 활동을 다양하게 하는 한편 각종 세미나와 회의를 진행하면서 방향을 잡기 위해 노력해 왔다. 경제통합은 뿌리가 같은 대구와 경북이 힘을 합쳐야 상생할 수 있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에서 추진돼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게 공통된 평가다. 》

새 성장동력을 찾아라<2>대구, 이대론 미래 없다

▽‘통합이든 협력이든 실속이 관건’=“여러 가지 협력은 하고 있지만 솔직히 ‘세리머니’ 수준이라고 할 수 있죠. 다른 광역자치단체들도 이 정도 수준의 협력은 하고 있지 않습니까.”

대구경북경제통합추진위원회의 한 인사는 19일 “통합이라는 표현보다는 ‘대협력’이 더 적절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협력 수준을 통합이라고 포장하려니 부담스럽고, 그저 협력하는 수준이라면 구태여 통합이라고 할 필요가 있느냐는 생각에서 새로 등장한 용어가 이른바 대협력이다.

추진위 사무국에서는 통합이라는 표현 대신 실제로 대협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추진위 공동위원장인 권영세 대구시 행정부시장은 “통합이니 협력이니 하는 개념을 너무 따질 필요가 있겠느냐”며 “협력이라면 좀 느슨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통합이 적절한 용어지만 중요한 것은 큰 틀에서 하나씩 접근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통합은 당초 대구와 경북의 행정통합의 전 단계로 설정됐으나 현재 행정통합에 관한 논의는 별로 나오지 않는 형편이다. ▽대구와 경북의 동상이몽=대구시와 경북도가 경제통합을 통해 경쟁력을 키운다는 원칙에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데도 통합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것은 두 지자체가 속으로는 다른 계산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추진위 사무국이 자체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대구시는 경제통합을 통해 대구 근교의 경북 시군을 흡수해 대(大)경제권을 형성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것이다.

즉, 구미∼대구∼경산권의 전자와 섬유, 기계부품 산업과 구미의 금오공대∼경북대∼경산의 영남대 등 교육벨트를 활용해 대구시가 경제적으로 팽창하는 데 경북을 활용하려는 전략이 깔려 있다는 것.

반면 경북도는 경제통합에 상대적으로 소극적이다. 포항과 구미 등 산업도시가 있어 경북 전체로 보면 경제력이 괜찮아 대구와 경제통합을 할 필요성을 간절하게 느끼지 않기 때문.

일부 경북도 공무원은 “지역의 경제단체와 전문가들이 경제통합을 주장하며 여론을 형성해 마지못해 대구시와 관련 사업을 추진 중”이라며 “통합이 되면 경북보다는 대구가 훨씬 득을 보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추진위 김남일 사무국장은 “대구시와 경북도는 경제통합이라는 총론에는 인식을 같이 하지만 협력 방식을 비롯해 이익과 손해를 따지는 각론으로 들어가면 서로 생각이 다르다”며 “행정통합이 안 된 상황에서는 지자체로서도 당장 주민에게 필요한 예산 투자가 중요해 통합과제에 대한 의지가 소극적일 수밖에 없는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외국 사례에서 해답을 찾아라=일본의 도쿄(東京)와 오사카(大阪) 사이에 있는 나고야(名古屋·인구 220만). 1981년 88올림픽 유치 실패를 계기로 주변 지역과 적극 협력해 실질적인 경제통합을 이뤄냈다는 평가를 받는 도시다.

나고야 지역은 현재 일본의 대표적인 제조업 중심지가 됐다.

나고야 지역이 경제통합을 이뤄낸 가장 큰 자극제는 공동의 위기의식. 올림픽 유치에 실패한 데다 도쿄와 오사카로 경제력이 빨려 들어가는 이른바 ‘빨대 효과’에 대한 우려가 팽배했다.

나고야 시는 인접한 4개 지자체와 공동으로 ‘그레이터 나고야’라는 공동 브랜드를 만들어 대내외 마케팅을 추진하는 한편 지역별 역할분담을 명확하게 했다. 실질적 경제권역은 나고야 시에서 자동차로 1시간 거리인 100km 이내. 대구와 경북도 나고야 지역과 기본적인 사정이 비슷하다. 경제력이 약화되면서 앞으로 10∼20년 후에는 일부 지역이 수도권과 부산 등으로 빨려 들어갈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나고야 지역의 경제통합을 연구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정책연구실 수석연구원인 신두섭 박사는 “나고야 시가 경제통합의 중심 역할을 하면서 주변 지역에서는 ‘들러리’라는 불만이 나오기도 했다”며 “하지만 통합 노력이 없으면 더욱 도태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통합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신 박사는 “나고야 모델을 대구와 경북에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겠지만 경제통합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 끝에 지역의 이미지를 친환경 투자 적지로 바꾸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 낸 과정은 타산지석으로 삼기에 충분하다”고 밝혔다.

이권효 기자 boriam@donga.com

▼대구와 경북의 경제통합 추진 현황▼

▽2006년

- 엑스코 확장사업 양해각서 체결

- 행정정보산업박람회 공동 참가

- 대한민국 지역특구박람회 공동 개최

- 대구시, 경북 김천시 전국체전 지원

- 대구경북한방엑스포 개최

- 대한민국지역혁신박람회 공동 참가

- 도의회, 대구세계육상대회 유치 결의

▽2007년

- 2011 대구세계육상대회 유치 성공

- ‘경북 방문의 해’ 공동 추진

- 대구경북통합산업단지 조성 협력

- 대구경북 문화기술산업 기반 구축

- 지능형 자동차부품시험장 구축

- 대도시권 광역도로 건설사업

- 광역전철망 구축

- 포항 영일만항 물동량 확보

- 문화예술사업 교류

- 공무원교육원 교육과정 통합운영

자료: 대구경북경제통합추진위 사무국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