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理知논술/논술비타민]우수 답안 정복하기(2)

  • 입력 2007년 1월 23일 02시 53분


코멘트
깊이 있는 접근을 시도하라

우수 답안은 창의적 문제 해결을 보여주는 답안입니다. 따라서 독창성 외에도 적절한 문제 해결 과정을 보여주면 좋은 평가를 받게 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깊이 있게 문제에 접근해서 다각적으로 해결책을 제시해야 합니다. 먼저 깊이 있는 접근, 심층적인 분석이 어떤 것인지 살펴보겠습니다.

깊이 있는 접근의 반대는 피상적인 접근입니다. 문제를 분석할 때 겉만 보게 되면 피상적인 접근입니다. 겉으로 드러난 현상만 보지 않고 내부의 본질을 파악하여 내적인 관계와 실상을 드러내어야 깊이 있는 접근입니다. 여러 문제점이 나타날 때에도 그것들이 혹시 어떤 근본 원인에서 파생된 것이 아닌지, 혹은 그 문제 중 어떤 하나가 근본 원인이 아닌지를 검토해 보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비만하고 게으르며 성적도 떨어지는 세 가지 문제를 가진 학생이 있다고 합시다. 이때 그냥 세 가지 문제를 가졌다고 보면 피상적 접근에 그친 것입니다. 왜냐하면 문제들 사이의 내적 관계가 어떠한지 생각해 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중 어느 하나가 근본 문제이고 다른 것들은 파생된 문제일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는 게으름이 근본 문제이고 비만과 성적은 거기에서 파생된 것일 수도 있습니다. 다른 경우, 성적이 근본적인 문제이고 성적이 나쁘다 보니 의욕이 떨어져 게을러지고, 또 쌓인 스트레스를 먹는 것으로 풀다 보니 비만해졌을 수도 있습니다. 결국 겉만 보면 세 가지 문제를 공유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학생들이 속을 들여다보면 서로 다른 근본 문제를 가진 것으로 재분류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근본 문제가 파악되어야 각자에게 맞는 적절한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깊이 있는 접근의 예를 실제 학생 글을 가지고 살펴보겠습니다. 다음은 ‘최근 10여 년에 걸쳐 한국인의 자살률이 왜 급격히 높아졌는가를 분석해 보라’는 요지의 문제에 대하여 어느 대학 경시대회에서 우수답안으로 평가받았던 글의 본론 부분입니다.

(A)최근 10년간 한국사회는 다방면에 걸쳐 빠르게 변화해 왔다. 정보화·다원화와 같은 세계적 흐름뿐만 아니라, IMF 위기나 집권당의 교체라는 여러 특수한 요인으로 인해 변화해 왔다. 대체로 이러한 변화들이 단기간에 급속도로 일어나다 보니 집단적 혼란 상태를 야기했을 뿐만 아니라, 미처 손쓸 틈도 없이 특정 사회구성원들을 예전보다 훨씬 악화된 상황으로 내몰았다. 예를 들어, IMF 이후 지속된 경기침체는 청장년층을 조기실업에 처하게 했으며,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심화시켜 빈곤층에 더욱 큰 타격을 주었다. 게다가 진보와 보수 간의 극심한 갈등은 사회적으로 더 큰 불안감을 조성하고 있다.

(B)현재의 이런 변화들을 겪고 있는 한국사회의 구성원 대다수가 전후세대로서, 힘든 일을 많이 겪어보지 못했다는 데에도 자살률 증가의 원인이 있다. 물론 같은 상황에 처한 사람들이라고 해서 다 자살하는 것도 아니고, 개인이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쟁 이후 고도성장을 지속해 온 한국사회에서 성장한 대부분의 한국인에게 최근의 극심한 불황은 쉽게 감당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무슨 일이든지 쉽게 풀리고 잘 되어 가는 데 익숙한 현 세대들은 이에 따라 비교적 경미한 일에도 쉽게 좌절되고, 잘 안 풀리는 일에 직면하게 되면 손쉽게 그것을 탈피하고자 자살까지도 고려하는 것이다. 이렇게 힘든 상황을 헤쳐 나가는 데 익숙하지 못한 성향은, 정보화에 따라 가속화된 생명경시풍조와 개인의 고립화와 함께 자살충동을 부채질한다.

(C)게다가 죽음으로써 현재의 고통이나 부정적 상황을 탈피하고자 하는 심리는 현대 자본주의의 대량생산 방식이 널리 퍼뜨린 유행이라는 현상에 힘입어 사회적으로 자살률을 증가시킨다. 즉, 유행의 기저에 깔려 있는 모방심리가 비단 청소년들뿐만 아니라, 유행을 체험하는 사회구성원들에게 전반적으로 침투해 있다 보니, 자살에 대해서도 별다른 거부반응 없이 모방이 이루어지기가 쉬워진 것이다. 예를 들어, 평소에 패션유행을 좇는 것에 익숙해진 현대인들이, 감당하기 힘든 빚에 쪼들리게 되자 자살하는 풍조에 대해서도 마치 옷을 따라 입듯이 쉽게 따라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글의 경우 우선 (A)에서는 거시적 차원에서 접근하여 정치 경제 상황이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습니다. 이 분석은 자살률 증가의 직접 원인이나 충분조건을 밝혀주는 것은 아니지만 기본 조건이 되는 시대 상황과 현상을 보여줍니다. (B)에서는 전후 세대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의 특수한 성장 환경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C)는 자본주의가 만들어낸 유행이라는 현상을 기반으로 자살률 증가 문제에 접근합니다. 이런 과정은 나름대로 깊이 있는 접근을 시도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우선 겉으로 드러난 외부적 요인(정치 경제 상황)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자살하는 주체들의 내적 요인(성장 환경)을 분석한 다음, 한 단계 더 들어가 그런 내적 요인 배후에 놓여 있는 결정 요인(유행)을 분석하려고 시도한 셈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C)에서 유행은 자본주의의 일반적 현상이기 때문에 하필이면 우리 사회의 자살 증가율을 증가시킨 이유로 보는 것이 과연 적절한지 반론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점점 더 내적 본질을 드러내는 쪽으로 나아가려고 시도한 점에서는 깊이 있게 접근한 셈입니다. 충분히 성공적이지 않더라도 나름대로 시도하면 빛이 나는 법입니다.

박정하 성균관대 학부대학 교수·EBS논술연구소 부소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