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연구소 ‘M&A바람’ 부나

  • 입력 2006년 8월 8일 03시 00분


코멘트
서울대는 올해 규장각과 한국문화연구소를 통합해 규장각한국학연구원(원장 김영식 교수)이라는 대규모 한국학 연구기관을 만든 데 이어 이달 중 북한 문제와 통일 정책을 다룰 통일연구소(소장 박명규 교수)를 출범시킨다. 이를 계기로 다른 대학의 연구소도 대응책을 마련하는 등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한국학의 메카’를 겨냥한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은 규모가 커지면서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연세대 국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등 기존 한국학 연구기관과 대등한 규모의 연구를 할 수 있게 됐다. 김영식(동양사) 초대원장은 “한국학의 범위를 확대하고 국제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이공대나 자연대 등 ‘비(非)한국학’ 학과 교수 45명으로 구성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9월부터는 해외 한국학 분야 석학을 초빙해 1년 동안 연구하도록 했다. 올해는 유럽권에서 학자 두 명이 온다.

고려대도 민족문화연구원에 국제한국학센터를 신설해 한국학의 국제화에 나섰다. 이곳에서는 한국학 서적을 영역해 미국과 공동으로 출판하는 프로그램을 추진 중이다. 인문학뿐 아니라 사회과학 분야 교수 16명이 참여하고 있다.

연세대의 한국학 기관인 국학연구원과 사회과학 기관인 동서문제연구소는 원활한 협조체제 구축을 위해 9월에 공동 학술회의를 연다. 두 기관은 더 나아가 전략적 연대까지 모색할 계획이다.

국학연구원 설성경 원장은 “기존에 연세대가 우위를 점했던 근대사 부문 연구가 더욱 활기를 띠게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한편 기존의 ‘통일포럼’이 확대 개편된 서울대통일연구소는 이달 하순 문을 연다. 지금까지 통일연구원, 세종연구소, 극동문제연구소 등이 주도해 온 남북 문제 및 통일 연구의 새 장을 여는 것이 목표다. 박명규(사회학) 초대소장은 “북한에 대한 연구가 아니라 통일 자체에 접근한다는 점이 다른 곳과 다르다”고 설명했다.

‘통일 과정에서의 북한 노동자 직업훈련정책에 관한 연구’ 같은 프로젝트는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보여 주는 척도다. 상주 연구인원은 5명이지만 소비자아동학과, 의학과, 경제학과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북한 전문가들을 불러 모을 계획이다. 이미 각 학과 교수 60여 명이 참여 의사를 밝혔다.

동국대의 경우 우위를 점해 온 북한 연구를 더욱 특화한다는 복안을 세웠다. 동국대 북한연구소는 내년 8월까지 북한의 인문사회과학 연구업적 성과를 정리 분석할 예정이다. 강성윤 소장은 “그동안 국립대인 서울대가 북한 문제에 소홀해 아쉬웠다”며 “서울대의 가세로 연구 인력이 충원된 만큼 더 많은 성과가 나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유성운 기자 polari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