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환자 가족으로 살아가기]<中>주간보호시설 이용은

  • 입력 2006년 4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서울 반포종합사회복지관 내 치매노인 주간보호센터 ‘은빛마을’에서 치매노인들이 블록 맞추기를 하고 있다. 이 같은 작업치료는 인지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안철민 기자
서울 반포종합사회복지관 내 치매노인 주간보호센터 ‘은빛마을’에서 치매노인들이 블록 맞추기를 하고 있다. 이 같은 작업치료는 인지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안철민 기자
이경재(39·서울 송파구 잠실동) 씨는 치매를 앓고 있는 시아버지(83)를 모시면서 주간보호시설의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

시아버지의 치매 증상은 4년 전쯤 감지됐다. 그러나 특별히 문제가 될 만한 형태로는 나타나지 않아 안이하게 생각했다. 지난해 5월부터 가출 등 갖가지 문제 행동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래서 밖으로 나갈 때 열쇠로 문을 잠갔다.

그러나 시아버지는 완전히 정신이 없는 것이 아니고 자신이 누구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으며 존중도 받고 싶어 했다. 그런데 집안에 갇혀 있다 보니 스트레스가 겹쳐 더욱 증세가 악화되는 듯했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낮에만 맡기는 주간보호센터.

그곳에서 다른 사람을 만나고 각종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시아버지의 현실 인식 능력이 크게 향상됐다. 계절 감각도 다시 생기고 사회성도 되살아났다.

이 씨는 “가족도 낮에는 숨 쉴 여유를 가질 수 있어 현재 상태대로라면 굳이 치매요양시설에 맡기지 않고 제가 모실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19일 오전 서울 서초구 잠원동 서초구립반포종합사회복지관 2층에 자리한 치매노인 주간보호센터 ‘은빛마을’.

12명의 남녀 노인이 강사의 지도로 아침체조를 하고 있었다. 대개의 주간보호센터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되지만 이 센터는 맞벌이 부부가 많은 특성을 감안해 오전 8시면 승합차로 노인을 데려와 오후 6시에 집으로 데려다 준다.

오전에는 아침 인사와 티타임, 체조 등에 이어 기능회복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물리, 운동, 음악, 작업치료 등이 그것이다. 작업치료는 블록 맞추기, 실 꿰기, 밀가루 반죽으로 모양 만들기 등을 하는 것이다.

이 센터 조중현(사회복지사) 센터장은 “작업치료는 인지기능 유지와 향상에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특히 보고 비교하고 만지고 느끼는 감각운동과 근육운동은 기억력 이해력 판단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점심식사와 함께 차를 마신 뒤 오후에는 산책과 체조를 하고 도예 원예치료 노래교실 등 그룹 활동이 이어진다. 간식도 제공된다.

전국 시도별 주간보호시설 현황
시도주간보호센터정원(명)
서울781,499
부산40579
대구15205
인천19337
광주1083
대전984
울산11104
경기54970
강원14243
충북773
충남6144
전북21376
전남22290
경북17217
경남17231
제주6155

이 센터의 경우 정원 15명에 현재 대기 인원이 15명이나 된다. 반포구청의 위탁을 받아 민간복지재단이 운영하고 있다.

대다수의 주간보호시설이 지자체의 위탁을 받아 민간단체가 운영한다. 이용료는 보통 1일 6000원(기초생활수급자는 무료).

반면 실비주간보호센터로 허가된 곳은 하루 1만 원으로 약간 비싼 반면 이용시간이 긴 것이 특징이다.

서울 공릉실비치매주간보호센터의 경우는 하루 1만 원, 월 25만 원이다. 대신 오전 7시 반부터 오후 7시 반까지 노인을 돌보고 토요일에도 오후 3시까지 돌봐 준다. 실비시설은 대기자가 없거나 적은 편이어서 금방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주간보호시설도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입소 자격이 거동과 프로그램 참여가 가능한 경증환자로 제한돼 중증환자는 이용할 수 없다. 또 일부 지역의 경우 운영시간이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로 너무 짧아 맞벌이 부부에겐 그림의 떡이다. 전국적으로 주간보호센터는 346곳에 5590명의 치매노인이 이용하고 있다.

▼노인수발 2008년 도입되면 첫해 대상자 14%만 혜택

정부는 2008년 7월부터 수발보험제도를 도입할 방침이다. 국민건강보험 가입자들이 월 2000원씩을 더 부담해 치매 등 도움이 필요한 노인들에게 수발을 제공한다는 것. 전체 수발비용 중 80%는 보험에서 부담하고 20%는 본인이 부담하는 것으로 돼 있다.

정부는 치매요양시설 설립은 막대한 투자액이 소요되기 때문에 급증하고 있는 수발 수요를 따라가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수발보험으로 제공하는 수발 서비스의 80% 이상이 재가(在家)수발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시행 첫해인 2008년 서비스 대상자를 8만5000명으로 잡고 있다. 그러나 보건사회연구원은 2007년에만 수발을 필요로 하는 노인 인구가 58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한다. 결국 수발 대상자의 14% 정도만 보험 혜택을 받게 되는 것이다.

처음에는 정도가 가장 중한 노인에 대해서만 수발급여를 제공하고 그 대상을 점차 확대해 간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급격한 노령화로 수급을 도저히 맞출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시설 입소든 재가 서비스든 일정 소득 이상의 사람들은 보험료만 내고 혜택 대상에서는 제외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이에 따라 수발보험을 두고 계층 간 불만이 터져 나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정동우 사회복지전문기자 foru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