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동서남북/'동해살리기' 관민 머리 맞대야

  • 입력 2003년 2월 4일 22시 16분


코멘트
미국의 언론들이 ‘일본해’와 ‘동해’를 병기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프랑스 정부도 올해 발간된 해도(海圖) 목록에 처음으로 동해와 일본해를 병기했다.

오랫동안 일본해로 불리던 명칭이 동해라는 이름은 되찾기까지는 정부와 학계, 네티즌 등의 요구와 항의가 큰 역할을 했다. 동해가 제이름을 찾는 것은 두말할 나위 없이 반가운 일이다. 하지만 동해 이름을 찾기 위해 펼쳐진 뜨거운 관심에 비해 텅 비어 가는 동해에 대한 관심은 뒷전이 아닌가 우려된다.

정작 동해를 삶의 터전으로 살아가는 동해안 어민들은 오래전부터 깊은 시름에 빠져있다. 어자원은 갈수록 고갈되고 바다 밑은 쓰레기로 가득차고 있다. 일본산 명태와 갈치 중국산 횟감이 식탁과 횟집을 점령하다시피 하고 있다.

전국의 어민수도 현재 30만명에 불과해 5년전에 비해 25%나 줄었다. 바다에 기대서는 먹고 살기가 갈수록 어려운 현실 때문이다. 어업경영인 제도는 후계자를 찾기 어려워 유명무실해지고 있다. 동해와 서해의 공해상에 버리는 폐기물은 지난해 800만t 가량으로 10년전에 비해 7배가량 늘었다.

지난해 경북 동해안에서만 불법어업을 하다 전과자로 전락한 어민이 150명에 이른다. 걸핏하면 고기를 잡기 위해 일본 수역(水域)에 들어갔다가 하겨오는 일이 벌어진다. 어민들은 동해에 고기가 줄어 씨를 말리는 불법어업에 눈을 돌리고 정부는 어자원 보호나 육성을 위한 뾰족한 대책이 없는 악순환이 동해를 갈수록 초라하게 만들고 있다.

일본의 어민들은 지난해부터 “숲이 건강해야 바다도 풍요로워진다”며 ‘어민의 숲’ 가꾸기에 나서고 있다. 숲과 바다는 하나의 생태계라는 것이다. 세계 최고 수준의 양식기술에다 철저한 어자원 관리를 하는 일본과 우리나라의 수산정책은 대조적이다. 동해(東海) 명칭 찾기가 ‘명실상부’ 동해 살리기로 이어지도록 모두 머리를 맞대야 할 때다.

대구=이권효기자 boria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