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정찰위성 쏠 것” 한중일 회의 날 통보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5월 27일 16시 50분


코멘트

2호기 내달 4일 이전 발사 예고

지난해 11월 22일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에 보도된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장면. (평양 노동신문=뉴스1)
지난해 11월 22일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에 보도된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장면. (평양 노동신문=뉴스1)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 당일인 27일 새벽 북한이 정찰위성 2호기를 쏘겠다고 기습 통보했다. 이날 0시부터 다음달 4일 0시 사이 쏘겠다고 밝힌 것.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참관하에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위성 발사가 초읽기에 들어간 것으로 우리 군은 보고 있다. 군은 이지스함을 서해로 급파하는 한편, F-35A 스텔스전투기 등 전투기 20여대를 동원해 공격 편대군 비행·타격훈련을 실시하며 북한에 경고장을 날렸다.

앞서 북한은 지난해 1, 2차 발사 당시엔 예고기간 첫날에 쐈다. 처음으로 성공한 같은 해 11월 3차 발사 땐 예고보다 1시간 앞당겨 기습 발사했다. 군 소식통은 “리창(李强) 중국 국무원 총리가 27일 오후 출국한 뒤 언제든 쏠 수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북한은 이날 일본 해상보안청을 통해 국제해사기구(IMO)에 위성 발사를 통보했다. ‘해상 위험구역(추진체 낙하구역)’ 3곳은 지난해 세 차례 발사때와 같다. 일본 해상보안청은 이 지역에 항행 경보를 내려 낙하물에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오른쪽은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4.05.27.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한중일 정상회의와 공동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예고한 소위 위성 발사는 명백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정면 위반”이라고 규탄했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도 “북한이 발사를 감행한다면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했다. 반면 리 총리는 정상회의와 기자회견에서 북한 정찰위성 발사를 거론하지 않았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
이상헌 기자 dapaper@donga.com
도쿄=이상훈 특파원 sanghun@donga.com
#한중일#정상회의#북한#정찰위성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