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북핵 포기’ 결의 IAEA 회의에 반발 “핵보유국 지위는 불가역적”

  • 뉴스1
  • 입력 2023년 10월 2일 07시 55분


코멘트
경기도 파주시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기정동 마을에서 인공기가 휘날리고 있다. 2023.9.14/뉴스1 ⓒ News1
경기도 파주시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기정동 마을에서 인공기가 휘날리고 있다. 2023.9.14/뉴스1 ⓒ News1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최근 북한의 추가 핵실험과 핵 관련 안전조치 이행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한 것에 대해 반발했다.

북한은 2일 원자력공업성 대변인 명의로 낸 담화에서 IAEA가 ‘미국의 어용단체’로 전락했다고 비난하며 핵개발을 ‘주권 행사’라고 주장했다.

앞서 IAEA는 지난달 29일 총회에서 북한의 핵 프로그램 중단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컨센서스(표결 없는 동의)로 채택했다. 또 한미일 3국은 이례적으로 ‘공동발언’을 통해 북한의 비핵화를 촉구하기도 했다.

대변인은 이에 대해 “우리는 이미 1990년대 초 반공화국 적대행위에 광분한 IAEA에서 탈퇴했다”라며 “IAEA는 우리 국가의 주권행사에 대해 가타부타할 아무런 자격이나 명분이 없다”라고 주장했다.

대변인은 특히 지난달 26~27일에 열린 최고인민회의 회의에서 북한이 핵무력정책을 ‘사회주의헌법’에 명기한 것을 상기하며 “우리의 핵보유국 지위는 불가역적인 것이 됐으며 이는 그 누가 부정한다고 해서 다르게 될 수 없는 엄연한 현실”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아울러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이 북한의 ‘7차 핵실험 가능성’을 언급하는 것이 ‘모략 자료’에 따른 것이며 자신들에 대한 ‘압박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또 “IAEA는 미국과 서방의 핵 전파 행위인 ‘오커스’ 협력, 일본의 핵오염수 방류는 묵인조장하고 있다”라고 주장하며 IAEA가 “미국과 서방의 비위를 맞추고 있다”라고도 날을 세웠다.

대변인은 “이 땅 위에 미국의 핵무기가 남아 있고 제국주의 침략세력이 존재하는 한 우리의 핵보유국 지위는 절대불변할 것이며 우리는 적대세력들의 주권 침해 행위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