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85일 만에 군사정찰위성 재발사…합참 “실패로 평가”

  • 뉴시스
  • 입력 2023년 8월 24일 06시 48분


코멘트

사전 예고기간 첫날 발사
합참 "발사 시 즉각 포착"

북한이 예고한 대로 군사정찰위성을 탑재한 것으로 추정되는 우주발사체를 쐈지만 또 실패했다.

합동참모본부는 24일 “북한은 오늘 오전 3시50분경 북한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북 주장 우주발사체’를 남쪽 방향으로 발사했다”고 알렸다.

합참은 “우리 군은 ‘북 주장 우주발사체’ 발사 징후를 사전에 식별하여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었다”며 “발사 시 즉각 포착해 지속 추적·감시했고 실패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북한이 군사정찰위성을 쏜 건 ‘만리경 1호’를 실은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을 발사했다가 실패한 지 85일 만이다.

북한 정권 수립 75주년(9·9절)에 앞서 축포를 쏘는 동시에 현재 진행 중인 한미 연합연습 ‘을지 자유의 방패(UFS)’ 맞대응 성격도 있어 보인다.

합참은 “우리 군은 확고한 연합방위태세 하에 진행 중인 UFS연습과 훈련을 강도 높게 지속 시행하면서, 북한의 다양한 활동에 대해서도 예의주시한 가운데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기초로 확고한 대비태세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22일 북한은 일본 해상보안청에 24일 0시~31일 0시 사이에 위성을 발사하겠다고 통보했다. 국제해사기구(IMO)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조정국인 일본에 사전 통보를 함으로써 정상 국가의 국제 규범을 준수하는 합법적인 활동이란 명분을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한미 당국은 기상 여건이 허락하면 제시한 기간 중 첫날인 24일 발사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주시해왔다.

북한은 지난 5월31일 첫 군사정찰 위성이라고 주장하는 만리경 1호를 발사했다. 하지만 2단 로켓 엔진을 작동시키지 못한 채 서해상에 추락한 이후 이례적으로 약 2시간30분여 만에 대외매체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실패 사실을 알리고, 가급적 빠른 기간 내 2차 발사를 단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우리 군 당국은 서해에서 위성체 잔해물을 인양해 분석한 결과 정찰위성으로서 군사적 효용성이 전혀 없다고 발표했다.

국제사회는 북한이 평화적 우주개발을 내세워 실행하는 위성 발사는 사실상 장거리 미사일 발사라고 보고 있다. 발사체 즉 로켓 상단에 위성을 실으면 우주발사체가 되고 탄두를 장착하면 미사일이란 점에서다.

유엔은 북한의 위성 발사는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한 모든 발사를 금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여러 차례 밝혔다.

합참도 이날 “이번 ‘북 주장 우주발사체’ 발사는 탄도미사일 기술을 활용한 어떠한 발사도 금지하고 있는 ‘유엔 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