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정상회의 두고… 美언론 “尹 과감한 결단이 주요한 역할”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8월 18일 22시 10분


코멘트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21일 히로시마 G7 정상회의장인 그랜드 프린스 호텔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3.5.21/뉴스1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21일 히로시마 G7 정상회의장인 그랜드 프린스 호텔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3.5.21/뉴스1
18일(현지 시간) 미국 대통령 별장인 메릴랜드주 캠프 데이비드에서 열리는 한미일 정상회의를 두고 해외 주요 언론들은 윤석열 대통령의 역할에 주목했다. 윤 대통령이 한미일 3국 협력체 구축에 장애물이었던 한국과 일본 간 과거사 문제의 실타래를 풀었다는 점을 조명한 것이다.

대통령실은 18일 “주요 외신들은 이번 정상회의 개최에 윤 대통령의 ‘과감한 결단’과 ‘정치적 용기’ 등이 주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라며 외신 보도 내용을 소개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서 연합전선 펼치는 한미일’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일본과의 화해를 향한 최근 윤 대통령의 행보는 동북아시아의 역학을 극적으로 변화시켰고 바이든 대통령은 이에 힘입어 더 긴밀하고 지속적인 한미일 관계를 구축하기를 희망한다”고 보도했다. 이어 “바이든 대통령은 18일 역사적인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에서 한국, 일본과의 새로이 강화된 3자 동맹을 공고히 할 계획”이라며 “중국의 공세 강화에 직면한 상황에서, 아시아의 강대국인 한일 간 불화를 해소해 상호 안보 협약을 체결하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 CNN은 이날 ‘바이든, 사상 첫 한미일 정상회의 위해 캠프 데이비드 외교 소환’이라는 제목의 보도에서 “북한의 지속적인 미사일 위협 등으로 윤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12년 만에 처음으로 3월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등 역사적 문제에 대한 시각의 차이를 제쳐두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라며 “미 정부 관리들은 3월 한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때 상상할 수 없다고 생각했던 3자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핵심 단계라고 평가했다”고 언급했다.
미 워싱턴포스트(WP)는 이날 ‘첫 단독 한미일 정상회의’ 기사에서 “작년 5월 취임 이후 윤 대통령은 과거사 문제를 넘어 일본과의 화해를 모색했으며, 특히 올해 봄 강제징용 관련 해법을 발표했다”라며 “이러한 조치들이 18일 정상회의에서 발표될 합의와 약속들로 이어지는 기반을 다졌다”고 평가했다.

한미일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미국을 방문하는 윤석열 대통령이 한국시간으로 지난 17일 경기 성남시 서울공항에서 공군1호기에 올라 인사하고 있다. 2023.8.17/뉴스1
한미일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미국을 방문하는 윤석열 대통령이 한국시간으로 지난 17일 경기 성남시 서울공항에서 공군1호기에 올라 인사하고 있다. 2023.8.17/뉴스1
AP통신도 이날 ‘바이든 대통령, 캠프 데이비드서 한국, 일본의 더 커다란 단결 유도를 목표’ 기사에서 “한일관계는 최근 윤 대통령 주도로 상당히 개선됐다”고 언급했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날 ‘한미일 단합 위한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 기사에서 “정부 관계자들은 한미일 정상회의가 주로 윤 대통령과 일본 총리의 성향 및 정치의 반증이라고 말했다”며 “두 정상의 한일관계 개선 노력은 국내에서는 상당한 역풍에 직면했지만, 지난 1년간 수차례 만나며 양국 간 협력의 힘을 인식하게 됐다”고 보도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자유, 평화, 번영을 위한 국제사회와의 연대를 강조한 이래 안보를 포함해서 3국의 포괄적 협력과 이를 위한 3국 공동의 리더십이 중요하다는 점을 3·1절 기념사, 광복절 경축사 등을 통해 꾸준히 지속적으로 강조해왔다”며 “윤 대통령은 미 국빈 방문시 미 의회 연설을 통해서도 3국 협력의 가치와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재확인하고 강조했었다”고 말했다.



전주영 기자 aimhigh@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