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문회 참석한 이동관 “공영방송 투명성·객관성 확보”

  • 동아닷컴
  • 입력 2023년 8월 18일 10시 55분


코멘트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의원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선서하고 있다. 2023.08.18. 뉴시스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의원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선서하고 있다. 2023.08.18. 뉴시스
이동관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후보자는 18일 “급변하는 방송·통신·미디어 환경 속에서 대한민국이 글로벌 미디어 강국으로 도약하고, 방송·통신·미디어가 국민의 신뢰와 사랑을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자는 이날 국회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에서 “세계 각국이 치열하게 미디어 경쟁을 벌이고, 방송·통신·미디어 분야는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중요한 시기에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후보자로 지명돼 무거운 사명감과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방송·통신·미디어의 중요성과 메타버스·챗GPT 등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의 출현을 언급하며 ▲미디어·콘텐츠 산업 성장 위한 환경 조성 ▲디지털·미디어의 공정성과 공공성 재정립 ▲디지털 신산업 분야의 법·제도 개선을 추진 과제로 내세웠다.

먼저 이 후보자는 “2008년 방통위 설립 이후 15년간 관련 법·제도는 시대 변화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미디어 융합 환경에 따라 방송 규제를 전면적으로 혁신하고, 디지털·미디어의 지속 성장을 위한 미래비전과 새로운 규제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새로운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대응해 디지털·미디어의 공정성과 공공성을 재정립하겠다”며 “공영방송의 이름에 걸맞게 재원 운영의 투명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고, 공영방송으로서 더 큰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했다.

그는 “이제는 뉴스를 포함한 대부분 정보가 포털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면서 “이런 상황을 반영해 신뢰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포털 스스로도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할 것”이라며 “가짜뉴스 등 불법정보로부터 이용자 보호를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자는 또 “디지털 플랫폼, 인공지능, 메타버스 등 디지털 신산업 분야의 법 제도가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자율성과 혁신성은 살리되 이용자의 권익이 침해되지 않도록 조화 있는 정책을 펴나가겠다”고 했다.

아울러 “언론인과 공직자로서 쌓아온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방통위 조직을 안정시키고 그동안 지연되거나 처리되지 못한 현안을 조속히 처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소영 동아닷컴 기자 sykim41@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