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본, 대처상황 점검…“호우 양상 예상 불가에 대비 철저”

  • 뉴시스
  • 입력 2023년 7월 23일 11시 26분


코멘트

중대본부장 "지자체가 위험요소 선제 대처…작업자 안전 최우선"
오전 6시 기준 시설피해 1만건 육박…복구율 공공 61%·사유 56%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2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중대본부장인 한창섭 차관 주재로 ‘호우 대처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행안부를 비롯해 교육부, 국방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환경부, 문화체육관광부, 국토교통부, 산림청, 소방청, 경찰청, 기상청 등 13개 부처와 17개 시·도가 참여했다.

앞서 중대본은 전날 오후 9시를 기해 대응 수위를 기존 1단계에서 2단계로 상향 조정했다. 2단계 격상 요건이 충족되지는 않았지만 전날 밤부터 24일까지 수도권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된데다 선행 강우로 추가 피해 발생 우려가 높을 것이란 판단에 따른 조처였다.

이날 오전 6시 기준 잠정 집계된 시설 피해는 9643건에 이른다. 공공시설 6897건, 사유시설 2746건이다.

그러나 응급복구는 더디기만 하다. 공공시설은 61.2%(4221건), 사유시설은 56.2%(1542건) 복구됐을 뿐이다.

산림청은 산사태 피해 지역에서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신속하게 응급 조치하기로 했다. 산사태 우려지역과 휴양림 등 다중이용시설도 집중 점검하기로 했다.

한 차관은 향후 기상 전망과 밤 사이 대처 상황을 보고 받고선 “밤 사이 예상보다 비가 적게 내렸지만 반대로 생각하면 언제든지 예상했던 것 보다 많은 비가 내릴 수 있는 것이 최근의 변화한 호우 양상”이라며 “길어진 장마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어떠한 상황에 대해서도 대처할 수 있도록 철저한 대비태세를 갖춰 달라”고 지시했다.

이어 “지역별로 호우 상황이 다르기에 위험 요소는 현장에 가장 가까이 있는 지자체가 과감하고 선제적으로 조치해달라”며 “강한 비가 예상되는 지역의 경우 상습 침수지역에 대한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비가 오지 않는 지역은 신속히 복구 작업을 진행하고 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달라”며 “정부도 인명 피해 최소화를 위해 호우가 끝날 때까지 긴장감을 가지고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세종=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