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日 오염수 방류 ‘최종’ 계획에 변동 생기면 추가 검토”

  • 뉴스1
  • 입력 2023년 7월 13일 15시 15분


코멘트
ⓒ News1
ⓒ News1
외교부가 일본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 내 방사성 오염수의 해양 방류계획과 관련해 “일본의 최종 계획을 파악한 뒤 변동이 있을 땐 추가 검토하겠다”고 13일 밝혔다.

외교부는 이날 국회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 현안보고 자료에서 “오염수가 과학적·객관적 관점에서 안전하며 국제법과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처분되도록 양자·다자 간 외교 노력을 지속 경주할 예정”이라며 이같이 설명했다.

외교부는 특히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오염수 방류) 검토·모니터링 활동에 우리 측 전문가 및 연구기관이 계속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국제사회와도 지속적으로 공조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 윤석열 대통령도 12일(현지시간) 리투아니아 빌뉴스에서 열린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 당시 “일본 정부의 오염수 방류 점검 과정에 우리 전문가도 참여토록 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후쿠시마 제1원전은 지난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 당시 폭발사고를 일으켜 가동이 중단됐으나, 이후에도 사고 당시 녹아내린 핵연료를 식히기 위한 냉각수 주입과 외부의 지하수·빗물 유입 때문에 원전 건물 내에선 하루 140톤 안팎의 고농도 방사성 오염수가 생성되고 있다.

일본은 이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알프스)로 정화한 뒤 바닷물에 희석해 올 여름부터 방류할 계획이다. 그러나 알프스로 정화한 오염수에도 삼중수소(트리튬) 등 일부 방사성 물질은 그대로 남아 있어 그에 따른 우려가 가라앉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일부에선 알프스 설비의 성능 자체 등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한다.

이런 가운데 IAEA는 일본 정부의 요청으로 2021년 7월부터 우리나라와 미국·일본·중국 등 11개국 전문가가 참여한 국제 검증단을 꾸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계획의 안전성을 검토해왔으며, 이달 4일 그 결과를 담은 ‘종합 보고서’를 공개했다.

해당 보고서엔 “일본의 방류 계획은 IAEA 안전기준에 부합하고 사람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무시할만한 수준”이라는 내용이 담겼다.

우리 정부도 이달 7일 자체 검토 결과 등을 토대로 “일본의 오염수 방류 계획은 국제기준에 부합한다”고 평가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