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혁신기구 출범…김은경 “가죽 벗기고 뼈 깎는 노력”

  • 동아닷컴
  • 입력 2023년 6월 20일 14시 01분


코멘트

첫 번째 의제는 2021년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

김은경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혁신기구 발족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3.6.20. 뉴스1
김은경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혁신기구 발족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3.6.20. 뉴스1
더불어민주당 혁신기구가 20일 출범한 가운데 혁신기구 위원장으로 임명된 김은경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가죽을 벗기고 뼈를 깎는 노력을 통해 (민주당이) 윤리정당으로 거듭나게 하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주재한 혁신위 1차 회의에서 “민주당은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 국회의원 코인 투자 사건으로 국민 신뢰를 잃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정부와 여당이 (각종 문제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데도 야당을 대안으로 생각하는 국민은 많지 않다. 민주당이 국민의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변화와 반성이 없고 기득권과 내로남불의 상징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민주당은 전면적 개혁이 필요하다. 기득권 정치의 표상이 아니라 국민의 미래에 희망을 제시하는 대안과 비전의 정당이 돼야 한다”며 “혁신위는 민주당의 근본을 바꾸는 대전환에 시동을 걸고, 국소 수술이 아니라 전면적 혁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은경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혁신기구 발족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3.6.20. 뉴스1
김은경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혁신기구 발족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3.6.20. 뉴스1
공천 시스템 개혁도 예고했다. 김 위원장은 “정당 공천을 둘러싼 갈등과 대립은 국민에게 정치 혐오를 일으킨다”며 “공천 과정에서 현역 의원으로 대표되는 기득권 체제를 혁파하고, 참신하고 유능한 인재를 기용하는 공정하고 투명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당내 계파 갈등 관련해선 “저는 정치권에 빚이 없는 사람”이라며 “당연히 친명(친이재명)도, 비명(비이재명)도, 친문(친문재인)도, 비문(비문재인)도 아니다”라고 했다. 이어 “계파 이익, 일부 강성당원의 요구, 기득권 세력으로 전락한 현역 의원의 이해에 한 치의 관심도 없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끝으로 “책임 있는 정당인 민주당 혁신기구의 수장으로서 엄중히 경고한다”며 “이 시각 이후 당내 분열과 혐오를 조장하고 혁신의 동력을 저해하는 모든 시도와 언행에는 일절의 관용을 베풀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현재까지 선임된 혁신위원의 명단을 공개했다. 명단에는 ▲김남희 변호사 ▲윤형중 LAB 2050 대표 ▲서복경 더가능연구소 대표 ▲이진국 아주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차지호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 ▲이해식 민주당 의원 ▲이선호 민주당 울산광역시당 위원장 등이 포함됐다. 김 위원장은 “완성된 위원회는 아니다.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더 모실 생각”이라고 전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혁신기구 발족식에서 김은경 혁신위원장과 악수를 하고 있다. 2023.6.20. 뉴스1
혁신위는 전당대회 돈봉투 사건 등 2020년 이후 당 소속 의원과 당직자가 연루된 부패·비리 사건을 우선적으로 진단하기로 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혁신위를 나오게끔 했던 기초 사건이 돈봉투 사건과 코인 문제인데 돈봉투 사건은 조직의 문제인 것 같고 코인은 개인의 이탈로 보인다”고 했다.

이어 “이런 사건에 민주당이 매뉴얼을 만들어 잘 대응했는지 등을 봐야 제도적 쇄신안이 나올 것 같다”며 “전당대회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도 조사해 문제의 원인부터 찾은 뒤 그에 따라 쇄신안을 만들어보고자 한다”고 밝혔다.

위원장에 임명되기에 앞서 돈봉투 사건이 조작됐을 수도 있다는 취지로 말한 데 대해서는 “사적으로 한 얘기였다”며 “돈봉투 사건의 자료를 보니 심각한 사건임을 확인했다. 혁신위원장으로서 말씀드리면 민주당에 정치적·법률적 책임이 있는 심각한 사건”이라고 말했다.

김소영 동아닷컴 기자 sykim41@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