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오염수 방류 관련 일본 정부 대변?…공무원 모욕 발언”

  • 뉴스1
  • 입력 2023년 6월 20일 11시 13분


코멘트
박구연 국무조정실 제1차장이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브리핑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3.6.19 뉴스1
박구연 국무조정실 제1차장이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브리핑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3.6.19 뉴스1
정부는 20일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가 안전하다고 미리 판단을 한 적도, 방류에 동의한 적도 없다”며 “우리 정부가 일본 정부를 대변한다는 등의 왜곡은 우리 국민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관계 공무원에 대한 모욕적 발언으로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박구연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후쿠시마 오염수 일일 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했다.

박 차장은 “정부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검증에 참여하고 독자적으로 일본 측으로부터 자료를 확보해 오염수가 국제적으로 공인된 기준에 부합하는지 다방면으로 검증하고 있다”며 “과학적으로 안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방류에 반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차장은 ‘오염수가 방류되면 후쿠시마산 수산물을 수입한다’는 주장에 대해 “오염수 방류와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 문제는 별개”라며 “후쿠시마 인근 해역이 과학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것이 국제적으로 공인되고 국민들이 인정할 때까지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금지를 해제하지 않을 것”고 못 박았다.

이어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금지는 원전 사고 이후 상당 기간 통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방사성 물질이 바다로 누출돼 발생한 환경오염 때문이며 오염수 방류 여부와는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없다”고 설명했다.

송상근 해양수산부 차관은 지난 18일 고위당정협의회에서 합의한 해양방사능 조사 정점 확대(92개 → 200개)와 관련해 “남서~남동 및 제주해역을 대상으로 108개 긴급조사 정점을 선정하고, 기존 92개 정점의 정밀조사와 병행 실시할 것”이라고 했다.

또한 “긴급조사 정점은 1~3개월 걸리는 정밀조사와 달리 신속분석법을 적용해 해수부는 월 1회, 원안위는 월 2회까지 분석·발표 주기를 단축하겠다”며 “후쿠시마 인근 공해상에 대한 방사능 조사도 매월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제주도 함덕해수욕장, 강원도 경포 해수욕장 등 우리나라 대표 해수욕장 20개소에 대해서 개장 전 방사능 긴급조사를 시행하겠다”며 “생산단계 방사능 검사 장비는 현행 29대에서 53대로 늘리고 69대의 유통단계 방사능 검사 장비에 추가로 6대를 확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송 차관은 “북서태평양 어장에서 조업하는 모든 원양 수산물 21개 품목에 대해서도 국내 수산물과 같은 방사능 검사를 실시했다”며 “올해 검사한 483건 모두 ‘적합’이 나왔고 방사능 검사 비율을 더욱 높일 것”이라고 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