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중국·러시아 측에 ‘카디즈 무단진입’ 엄중 항의

  • 뉴스1
  • 입력 2023년 6월 7일 12시 44분


코멘트
019년 한국 영공을 침범하거나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에 무단 진입한 러시아-중국 군용기들. ⓒ 로이터=뉴스1
019년 한국 영공을 침범하거나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에 무단 진입한 러시아-중국 군용기들. ⓒ 로이터=뉴스1
국방부가 6일 발생한 중국·러시아 군용기의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카디즈) 무다 진입과 관련, 양국의 주한 국방무관에게 엄중 항의했다고 7일 국방부가 밝혔다.

국방부에 따르면 이승범 국제정책관은 이날 주한중국대사관 국방무관 왕징궈(王京?) 육군 소장과 주한러시아대사관 국방무관 드미트리 젤레즈니코프 대령에게 각각 이 같은 입장을 전달하고 재발 방지를 촉구했다.

이 정책관은 중·러 양측 군용기가 “사전 통보 없이 KADIZ에 진입, 한국 영공에 근접해 민감한 지역 상공을 비행했다”며 각국 무관들에 유감을 표명했다.

이 정책관은 “이런 행동은 역내 긴장을 조성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며 “재발방지를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 또한 강력 요청했다.

우리 군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전날 오전 11시52분부터 오후 1시49분까지 중국 군용기 4대와 러시아 군용기 4대가 남해 및 동해 KADIZ에 순차적으로 진입했다가 이탈했다.

우리 군은 이들 군용기가 KADIZ에 진입하기 전부터 식별, 공군 전투기를 투입해 우발상황을 대비한 전술조치를 실시했다

방공식별구역(ADIZ)은 각국이 미식별 항적을 조기에 식별해 영공 침범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임의로 설정한 구역으로서 ‘영공’과는 다른 개념이다.

외국 항공기가 각국 ADIZ에 진입할 땐 ‘만일의 상황’을 피하기 위해 해당 국가 군 당국의 사전허가를 받는 게 관례화돼 있다.

그러나 중·러 양국은 최근 수년간 연합 공중훈련을 이유로 우리 측에 사전통보 없이 KADIZ에 진입하는 행위를 반복하고 있다.

러시아 측은 다른 나라의 ADIZ를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