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현 “145㎏ 김정은, 불호령 내렸을 것…또 실패하면 아오지행 아님 죽음”

  • 뉴스1
  • 입력 2023년 6월 1일 10시 01분


코멘트
합동참모본부는 지난 31일 우리 군이 오전 8시5분쯤 서해 어청도 서방 200여㎞ 해상에서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 발사체’의 일부로 추정되는 물체를 식별해 인양 중이라고 밝혔다. 우리 해군함이 나가 있는 곳은 북한이 이날 쏜 발사체가 비정상 비행 후 추락한 공해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어청도는 전북 군산항에서 서쪽으로 약 66㎞ 거리에 위치한 섬이다. (합동참모본부 제공)
합동참모본부는 지난 31일 우리 군이 오전 8시5분쯤 서해 어청도 서방 200여㎞ 해상에서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 발사체’의 일부로 추정되는 물체를 식별해 인양 중이라고 밝혔다. 우리 해군함이 나가 있는 곳은 북한이 이날 쏜 발사체가 비정상 비행 후 추락한 공해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어청도는 전북 군산항에서 서쪽으로 약 66㎞ 거리에 위치한 섬이다. (합동참모본부 제공)
정찰위성 발사에 실패한 북한이 서둘러 재발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1일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에서 “군사정찰위성은 머지않아 우주 궤도에 정확히 진입해 임무 수행에 착수하게 될 것”이라며 이른 시일내 재발사를 예고했다.

북한문제 전문가인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도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북한이 애초 “5월 31일부터 6월 11일 사이에 쏘겠다고 예고했다”며 이를 볼 때 6월 11일 이전에 재발사를 시도할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했다.

특히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발사실패에 대노했을 가능성이 높은 만큼 북한 발사체 관계자에겐 ‘죽느냐 사느냐’ 생사가 걸려있기에 최대한 빨리 재발사에 나설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정 전 장관은 “이번 북한 발사는 우리의 누리호 3차 발사 성공에 상당히 경쟁심을 느끼면서 조바심이 난 탓 아닌가. 과거 미소가 우주경쟁을 했듯이 남북 간에 지금 우주 경쟁을 시작했다”며 북한이 위성을 쏜 건 우주 경쟁차원이라고 해석했다.

그런데 발사에 실패해 김정은 비서와 북한의 체면이 구겨질대로 구겨졌다며 “국정원이 김정은 체중이 145㎏이라고 하는데 아마 지금 김정은의 불호령이 떨어져 (북한은) 난리가 났을 것, 이병철부터 시작해서 과학자들은 아마 지금 초주검이 됐을 것”이라며 따라서 “밤을 새워서라도 위원장 동지 자존심을 살리기 위해서 최대한 노력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4월 19일 김정은 총비서가 지난 18일 국가우주개발국을 현지지도했다고 보도했다. 김 총비서의 딸 김주애는 현장에 함께 동행했다. 김 총비서는 “4월 현재 제작완성된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계획된 시일 안에 발사할 수 있도록 비상설위성발사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최종 준비를 다그쳐 끝내라‘고 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4월 19일 김정은 총비서가 지난 18일 국가우주개발국을 현지지도했다고 보도했다. 김 총비서의 딸 김주애는 현장에 함께 동행했다. 김 총비서는 “4월 현재 제작완성된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계획된 시일 안에 발사할 수 있도록 비상설위성발사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최종 준비를 다그쳐 끝내라‘고 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지난 31일 발사실패에 대해 “김정은이 얼마나 창피하냐”며 “4월 18일엔 열살짜리 딸 김주애를 데리고 준비하는 데 가서 ‘완벽하게 준비되고 있다’는 보고를 받았고 5월 17일 또 가서 완전히 준비 끝났다고 보고를 받아 ‘적정한 날짜를 잡아서 발사하라’고 명령을 내렸는데 지금 이 사고가 났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또 실패하면 몇 사람 간다, (6월 11일 이전 혹은 최대한 빨리 발사하지 않을 경우) 몇 사람은 그야말로 아오지 탄광(함경북도 경흥군에 있는 석탄광· 과거 북한이 정치범들 노동교화형 장소로 유명했다. 이후 숙청의 대명사로 사용되고 있다)으로 가든지 생명까지 잃을지도 모른다”며 그렇기에 “죽기 살기로 덤빌 것”이라고 했다.

정 전 장관은 이번 발사 실패가 너무 서두른 탓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재발사도 서두를 경우 “실패할 가능성이 없지 않다. 속담에 ‘급할수록 돌아가라’고 했는데 서두르다 보면 실수할 가능성은 서서히 할 때보다도 훨씬 높다”며 북한 움직임에 우려되는 측면이 있다고 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