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내대표 선거전 총성 울렸는데 잠잠…‘용산’ 눈치보는 與

  • 뉴스1
  • 입력 2022년 9월 14일 15시 18분


코멘트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왼쪽)와 주호영 의원 ⓒ News1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왼쪽)와 주호영 의원 ⓒ News1
국민의힘 새 원내대표 선출을 위한 공식 절차가 시작됐지만 당내에선 ‘용산 바라보기’ 분위기가 감지된다.

경선이냐 추대냐를 두고 다양한 눈치싸움이 치열한 가운데 결국 지난 원내대표 경선 당시 권성동 원내대표의 ‘압승’ 배경이 된 ‘윤심’(윤석열 대통령의 의중)에 따라 경선 방식은 물론 새 원내대표 향방이 결정될 것이란 관측이다.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는 14일 오전 첫 회의에서 원내대표 및 당 국회 운영위원장선출 선거관리위원회 구성안을 의결하고 송언석 원내수석부대표를 위원장으로 하는 선관위를 구성했다.

선관위는 이날 1차 회의를 열고 오는 17일 후보자 모집, 19일 오전 10시 국회 본관에서 원내대표 선출을 위한 의원총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복수후보가 입후보하면 1차, 결선투표 과정을 거치며 1차 투표시 각 7분, 결선 투표시 각 3분의 정견발표가 진행된다. 등록한 후보가 한 명인 경우 만장일치 박수로 추대를 결정한다.

이같은 원내대표 선출 일정은 앞서 예상됐다. 권성동 원내대표가 사실상 사퇴 의사를 밝힌 이후 정진석 비대위가 출범하는 과정에서 당내 주요 인사들은 19일 새 원내대표가 선출될 것이라고 밝혔다.

예정된 일정이 공지됐지만, 당내 분위기는 잠잠한 모습이다. 비대위의 임시지도체제 한계 등으로 인해 원내대표 위상이 높아져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 것과는 다른 분위기다.

현재 당내에서는 5선의 주호영·정우택 의원과 4선의 김학용 의원, 3선의 김태호·윤재옥·박대출·조해진·이종배 의원 등이 원내대표 후보로 거론된다. 이들 중 공식적으로 원내대표 경선에 도전장을 낸 인사는 없다. 선거까지 5일, 후보등록까지 3일 남은 시점을 고려할 때, 치열한 눈치싸움이 벌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경선과 추대설 등 다양한 시나리오가 나오는 점 역시 이들이 조심스러운 행보를 보이는 이유로 꼽힌다.

앞서 당내에서는 다수 의원이 하마평에 오른 만큼 경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가 나왔다. 하지만 최근 당 내홍으로 비대위가 출범한 상황에서 경선이 ‘권력투쟁’으로 비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정진석 비대위’에 대한 법원의 가처분심사가 진행 중인 상황으로 인해 ‘주호영 추대설’이 떠오르고 있다. 주 의원은 앞서 의원총회 추인을 통해 비대위원장으로 내정됐다.

원내대표 후보로 거론되는 복수의 인사들은 ‘추대론’과 관련해 “그 결과를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당내에서는 도전자가 1명이라도 나올 경우 ‘추대’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실제 한 인사는 “경선 구도로 치러지면 출마할 것”이라며 출마의사를 전했다.

일각에서는 주요 인사들이 용산을 바라보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윤심’이 어디로 향하는지에 따라 원내대표 향방이 결정될 것이란 관측이다. 실제 지난 4월 원내대표 경선 당시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핵심 관계자)을 내세운 권 원내대표가 102표 중 81표를 받아 압승했다.

윤핵관 맏형으로 불리는 정진석 비대위원장 체제가 출범하는 등 친윤계를 중심으로 당이 정비되는 상황에서 이번 원내대표 경선에서 윤심이 작용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정치권은 바라보고 있다. 경선과 추대 역시 윤심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다만, 윤 대통령은 그동안 ’당무 불간섭‘ 입장을 밝혀온 만큼 윤심의 영향력이 제한적일 것이란 관측도 있다.

이날 정진석 위원장을 예방한 이진복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기자들과 만나 “(원내대표 선출은) 당에서 해야 할 일이다. 비서실에서 관여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고 해선 안 되는 일”이라며 “의원총회를 통해 의견을 모아서 할 일”이라고 말했다.

최근 권 원내대표 사퇴와 장제원 의원의 ’후퇴 선언‘ 등 친윤계 인사들이 조심스러운 행보를 보이는 것 역시 이같은 분석을 뒷받침하고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