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ICBM 발사 때 미군이 ‘맞대응’ 훈련 거절?

  • 뉴스1
  • 입력 2022년 3월 28일 13시 00분


코멘트
공군 F-35A 스텔스 전투기의 ‘엘리펀트 워크’ 훈련. (국방부 제공) 2022.3.25/뉴스1
공군 F-35A 스텔스 전투기의 ‘엘리펀트 워크’ 훈련. (국방부 제공) 2022.3.25/뉴스1
우리 군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도발에 ‘맞대응’하는 차원에서 미군 측에 연합훈련을 제안했으나 거절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우리 군 당국은 “한미 간 긴밀한 협의에 따른 정책 결정”이라고 설명헀으나, 일각에선 한미 간 대북공조에 대한 ‘엇박자’ 우려가 나오고 있다.

28일 군 소식통에 따르면 지난 24일 오후 북한의 ICBM 발사 뒤 우리 군은 대응차원에서 한미연합 타격훈련을 주한미군 측에 제안했다. 한미는 5년 전인 2017년 9월 북한의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화성-12형’ 발사 직후에도 연합타격훈련을 실시한 적이 있다.

그러나 미군은 이번엔 연합훈련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우리 군은 단독으로 동해안에서 지대지 탄도미사일 ‘현무-Ⅱ’와 에이태큼스(ATACMS) 각 1발, 함대지 미사일 ‘해성-Ⅱ’ 1발, 그리고 공대지 합동직격탄(JDAM) 2발로 북한의 도발 원점을 가정한 동해상 표적을 공격하는 내용의 지상·해상·공중 타격훈련을 했다.

우리 군 당국은 북한의 ICBM 발사 다음날인 25일 서욱 국방부 장관이 지휘한 F-35A 스텔스 전투기의 ‘엘리펀트 워크’ 훈련도 한미연합으로 실시하는 방안을 고려했지만, 이 또한 미군 측에서 응하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이와 관련 일각에선 미국 측이 추후 북한과의 협상 재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북한의 이번 ICBM 도발에 따른 대응수위를 낮춘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북한이 ICBM 시험발사란 고강도 무력도발을 통해 미국 측이 기존에 설정했던 ‘레드라인’(한계선)을 넘어선 상황이지만, 여전히 ‘대화의 문이 열려 있다’는 입장을 전하기 위한 의도일 수 있단 것이다.

그러나 김준락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한미 군 당국은 24일 북한의 ICBM 발사 전부터 상황을 긴밀히 공유하면서 확고한 한미연합방위태세를 유지해왔다”며 “당시 한미는 긴밀한 협의를 통해 다양한 대응계획을 마련하고 있었다. 북한의 ICBM 발사 당시 우리 군의 대응사격은 사전에 한미가 협의해 계획한 것이었다”고 말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24일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 시험발사가 단행됐다고 25일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24일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 시험발사가 단행됐다고 25일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국방부 관계자 또한 이날 기자들과 만나 “어떻게 하면 북한에 강한 메시지를 줄 수 있을까‘ 하는 차원에서 우리 군 단독으로 (북한 ICBM 발사에) 대응하기로 정책 결정을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지난 24일 북한의 ICBM 발사 시각이 오후 2시34분이었던 반면, 우리 군의 대응사격훈련이 오후 4시25분으로 무려 2시간 가까이 차이가 났던 데 대해서도 “5년 전엔 (북한의 화성-12형 발사에) 대응사격을 먼저 한 뒤 대통령 메시지가 나왔고, 이번엔 대통령 메시지가 나온 뒤 대응이 있었다”며 이 또한 “정책 결정의 영역”이라고 말했다.

우리 군은 북한이 2017년 9월15일 ’화성-12형‘ 미사일을 쐈을 땐 약 6분 만에 ’현무-Ⅱ‘ 미사일 등을 이용한 대응사격 훈련을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달 24일 북한이 ICBM을 발사한 직후 주재한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북한의 이번 발사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조선노동당 총비서)이 국제사회에 약속한 ICBM 발사 유예를 스스로 파기한 것으로서 한반도와 지역, 그리고 국제사회에 심각한 위협을 야기하고 유엔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한 것”이라고 규탄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