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에 “사도 광산은 일제 강제동원의 생생한 현장이며 참혹한 제국주의 침탈의 결과물이다. 그럼에도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것은 인권 유린의 추악한 민낯을 감추기 위한 꼼수”라고 일본 정부를 질타하며 이같이 적었다.
이 후보는 이어 “군함도에 이은 또 하나의 역사 만행”이라고 일본 정부를 재차 비판하며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부정하고 사죄조차 하지 않는 일본이 강제징용 현장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추천하려는 것은 심각한 역사부정이며 피해자에 대한 씻을 수 없는 모욕”이라고 지적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이날 관저에서 사도 광산을 2023년 등록을 목표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추천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사도 광산은 태평양전쟁 시기 구리, 철 등 전쟁물자를 캐는 데 활용됐던 금광으로 조선인 1000여명이 강제노역을 했던 곳이다.
이에 외교부는 이날 오후 대변인 성명을 통해 “강한 유감을 표명하며, 이러한 시도를 중단할 것을 엄중히 촉구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