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퇴 발표 2시간 만에 검찰총장의 사표와 민정수석의 사표를 동시에 처리함으로써 정권의 핵심 사정라인을 모두 정리해 버렸다. 이처럼 문 대통령이 즉각적으로 두 사람의 사표를 수리한 것은 그만큼 상황에 대한 대비가 잘 돼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두 사람에 대해 단단히 화가 나 있었다는 관측도 나온다.
윤 전 총장에 대해서는 지난 정부에서 박해받던 그를 서울중앙지검장과 검찰총장으로 발탁하며 총애했는데도 불구하고 오히려 ‘조국 수사’ 이후 정권에 지속적으로 칼을 겨눈 것에 대한 누적된 배신감이 컸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 대통령은 연초 신년 기자회견 때만 해도 윤 총장에 대해 “문재인 정부의 검찰총장”이라며 “정치할 생각을 하면서 검찰총장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그를 일부 포용하는 듯한 발언을 했으나 윤 총장은 4일 사퇴하면서 “헌법정신과 법치 시스템이 파괴되고 있다”며 문 대통령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이런 정황들로 인해 정치권에서는 문 대통령이 정국 주도권을 유지하기 않기 위해 향후 검찰에 대한 압박 수위를 끌어올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대통령의 압박 카드는 두 가지. 즉 ‘검찰조직 장악’과 ‘검찰 해체’가 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윤 전 총장 사퇴 직후 곧바로 법에 정해진 관련 절차를 밟아 후임 총장 인선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아직 법안 통과도 되지 않았고 시행까지 얼마가 걸릴지 가늠하기도 어려운 중대범죄수사청 신설에 매달리기보다는 당면한 차기 총장 인사를 통해 검찰조직을 정권의 영향력 아래 두는 것이 훨씬 현실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검찰 안팎에서는 누가 되든 차기 검찰총장은 현 정권에 칼을 겨누지 않을 전현직 검찰 고위 간부가 임명되리라는 것은 자명하다고 보고 있다. 이 경우 월성 원전 수사와 김학의 불법 출금 의혹 수사, 이용구 법무부 차관 택시기사 폭행 사건 수사, 청와대의 울산시장 선거 개입 의혹 수사 등 민감한 정권 수사를 후임 총장을 통해 우선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게 된다. 윤 전 총장이 있을 때는 어려웠지만 정권과 손발을 맞추는 후임 총장이 안전판 역할을 하면서 현 정권 인사들을 위협하는 수사를 유야무야시키는 시나리오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러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차기 총장과 법무부 장관, 여당이 합세해 검찰 수사권을 완전 박탈하는 검찰개혁을 동시에 추진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실제 여당에서는 윤 총장이 사퇴한 직후 “중수청 속도조절은 없다”며 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권이 중수청 신설을 계속 추진해 관련 법안이 이르면 6월이나 올해 안에 통과된다고 하더라도 실제 시행까지는 법통과 후 최소 1년 이상이 걸리기 때문에 국가 공권력 공백을 막기 위해서라도 검찰이 앞으로 1, 2년은 더 유지될 수밖에 없다.
차기 총장은 그 과도기에서 민감한 권력 수사를 통제하고 검찰 수사권을 완전 폐지하는 데 앞장서는 역할을 맡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가 후임 검찰총장 인선에 대해 “차기 검찰개혁 과제를 안정적으로 완수하고 관련 제도의 안착을 도울 수 있는 인물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한 것이 이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태훈기자 jefflee@donga.com
김원웅 광복회장, 임정 기념식서 독립유공자 후손에 멱살 잡혀
김종인 “윤석열과 안철수는 합쳐질 수 없다…安, 건방지게 야권승리라니”
“검사 지지는 수사 독립성 지킨 ‘총장 윤석열’ 향한 것일 뿐”
‘노마스크 1만명’ 北노동당 대회, 소름 돋는 반전[주성하의 北카페]
“감히 조국을…” 극성 친문, ‘초선 5적’ 낙인 문자폭탄
“엉터리 공시가 바로잡겠다” 오세훈-원희룡 공동전선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