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권의 중대범죄수사청(중수청) 신설을 통한 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움직임에 정면으로 맞서온 윤 총장은 4일 전격적으로 직(職)을 던졌다. 윤 총장의 말대로 이번 사안이 직을 던진다고 해결될 수 있는 일은 아니지만 조직에 존폐의 위기가 닥쳤는데 수장이 직에 연연하는 듯한 모습으로 비춰지는 것도 조직에 누가 된다고 판단했을 수 있다.
특히 여권이 중수청 신설을 통해 검찰 해체를 추진하는 핵심적인 이유가 여권으로부터 줄곧 퇴진 압박을 받아온 윤 총장 자신이 물러나지 않기 때문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윤 총장은 최근 주변에 “나 때문에 중수청을 도입해서 국가 형사사법 시스템을 망가뜨리려고 하는 게 분명하다. 더 이상 지켜볼 수 없다. 내가 그만둬야 멈출 것이다”라고 심경을 토로한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현직 총장이 중수청 반대를 외치며 중도 사퇴를 결행하면서 정국은 급속히 윤 총장 중심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또 윤 총장의 향후 대선 행보와도 맞물리면서 중수청 신설을 계속 밀어붙이는 여권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 경우 여권은 중수청 설치를 통한 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추진 동력이 떨어지는 반면 차기 대권 구심점이 없는 야권은 윤 총장을 중심으로 지지세가 뭉칠 수 있는 여지가 커진다. 최소한 총장의 중도 사퇴는 여당의 중수청 신설 관련 법안 발의를 늦추게 할 가능성도 있다.

윤 총장의 조기 사퇴를 학수고대해온 여권으로서도 검찰개혁의 최대 걸림돌이었던 윤 총장이 물러남에 따라 차기 검찰총장 임명을 통해 검찰조직 장악을 노릴 수 있어 굳이 논란과 비판을 감수하고서 검찰 해체를 강행할 이유가 줄어든다. 검찰을 없애는 것보다 입맛에 맞는 검찰총장을 앉혀 검찰을 문재인 정부 편으로 만드는 순치 전략을 펴는 것이 현실적으로 더 이득이라는 판단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 윤 총장으로서는 수장이 직을 던져 조직을 지켰다는 명분과 실리가 생기고, 여권은 ‘조국 사태’ 이후 갈등관계였던 검찰을 우군으로 돌려 국정운영과 정권 재창출을 향한 핵심 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실리를 확보할 수 있다.
윤 총장의 중도 사퇴는 윤 총장이 야권의 차기 대선 후보가 되는 것은 막으려고 했던 여권의 대선플랜에 차질을 초래할 가능성을 키우는 등 내년 대선 구도에도 지각변동이 불가피해지고 있다. 박근혜 정부에서 대통령에게 직접 부담을 주는 국가정보원 댓글 사건 수사를 지휘하다 고검 검사로 좌천된 윤 총장을 현 정부 출범과 함께 서울중앙지검장으로 발탁해 적폐수사를 맡긴 문 대통령. 하지만 2019년 ‘조국 수사’를 기점으로 척을 진 문 대통령과 윤 총장에게 차기 대권을 놓고 건곤일척을 다투는 시간이 오고 있다.
이태훈기자 jefflee@donga.com
이스타 ‘이상직 비자금’, 정권말 권력형 비리 비화하나
“정치 방송인 김어준 퇴출”…靑청원, 20만 명 동의
‘김종인의 입’ 물러난 김은혜 “누군가 상처받았을 것같아 반성”
文의 ‘검찰 황태자’ 이성윤, 기소 넘어 차기 檢총장 꿈 이룰까
“조국·임종석·이광철 범행가담 강한 의심"…‘靑 선거개입’ 불기소 처분서 보니
광화문광장 공사, 시민의견 수렴 다시 거친후 결론 짓기로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