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선거구 협상 지연에…선거구획정위, 독자 기준 마련 착수

  • 뉴스1
  • 입력 2020년 2월 29일 20시 44분


코멘트

"24일까지 요청했음에도 획정되지 못한 상황"
"국회 기준 정해질 경우 적용법은 추후 논의"

김세환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장이 29일 서울 관악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관악청사에서 열린 제21대 국회의원선거 선거구획정안 위원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2020.2.29/뉴스1 © News1
김세환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장이 29일 서울 관악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관악청사에서 열린 제21대 국회의원선거 선거구획정안 위원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2020.2.29/뉴스1 © News1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구획정위원회가 29일 독자적인 4·15 총선 선거구 획정 기준 마련에 나섰다. 국회의 선거구 획정 논의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획정위는 이날 오후부터 밤 10시가 넘은 시각까지 서울 관악구 선관위 청사에서 회의를 열고 선거구 획정 마련 방안을 논의 중이다.

선관위 관계자는 뉴스1과의 통화에서 “워낙 복잡한 일이라 쉽게 결론이 나지 않고 있다”면서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앞서 김세환 획정위원장은 회의에 들어가면서 “그동안 국회에 시도별 정수 등 선거구 획정 기준을 확정해주기를 촉구했다”며 “지난 2월 13일 행안위 간사 협의 시에는 재외선거인 명부가 3월 6일까지 작성되는 점과 3월 5일로 예정된 본회의 일정 등을 감안해 늦어도 2월 24일까지 선거구 획정기준이 통보돼야 함을 설명했지만 확정되지 못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재외선거인 명부 열람 및 이의신청 기간이 3월 7일 시작됨에 따라 선거구 획정이 되지 않은 상태로 이 기간마저 경과할 경우 국민의 기본적 권리가 실질적으로 제한되고, 이후 선거사무도 정상적으로 진행 못할 혼란에 직면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우리 위원회는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며 더이상 국회의 획정기준을 기다릴 수 없는 상황을 인식하고 우리 위원회에서 획정안을 마련해 국민에 대한 책임을 다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정하고 합리적인 획정이라는 국민이 부여한 소명을 마음에 깊이 새기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획정위는 전날(28일) 국회에서 시·도별 정수 등 선거구획정기준을 통보하지 않은 것에 대해 유감을 표시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여야 3개 교섭단체 원내대표는 다음달 1일 국회에서 회동을 열고 선거구 획정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획정위 관계자는 “국회에서 기준이 정해진다고 하면 그것을 저희가 참고해서 적용할 것인지 논의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