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량 절반 몰린 남양주, 유일한 교통대책인 GTX 착공 미정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12월 20일 03시 00분


코멘트

[3기 신도시 발표]3기 신도시 4곳 특징과 과제


“이번에 조성한 신도시급 택지의 특징은 모두 서울 도심에서 30분 내에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1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3기 신도시’ 개발 계획을 발표하면서 후보지 4곳의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 도심 접근성을 꼽았다. 교통 인프라 부족이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경기 양주, 파주 운정 등 2기 신도시의 전철을 밟지 않겠다는 것이다.

○ 4곳 동시 개발로 공급 확대-집값 안정 신호

이날 발표된 신도시 4곳에는 그동안 유력한 후보로 꼽혔던 경기 광명 성남 김포시 등이 빠졌다. 정부는 자료에서 ‘지방자치단체와 협의가 완료된 곳’을 확정해 발표했다고 밝혔다. 9월에 수도권 신규 택지 후보지가 사전 유출된 뒤 해당 지자체와 주민들이 거세게 반발했다는 점을 감안해 가급적 마찰이 덜한 곳을 고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문기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지역 반발이 크다고 해서 특정 지역을 신도시 후보에서 배제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일부 지역은 지자체와 협의가 끝나지 않아 최종 후보지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내년에 발표할 가능성도 있다는 설명이다.

시장에선 당초 1, 2곳 발표에 그칠 것이라는 예상을 뛰어넘어 4곳을 지구 지정했다는 점에서 국토부가 공급 확대를 통한 집값 안정이라는 강한 신호를 보내려 한 것으로 보고 있다. 물리적 거리를 봐도 분당 일산 등 1기 신도시가 서울 경계에서 5km, 2기 신도시는 10km 떨어져 있지만 이번 3기 신도시는 2km에 불과하다. 거리로는 ‘서울 통근이 불가능한 서울 대체 신도시’라는 지적을 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이번에 사실상 서울이나 다름없는 과천을 신도시 4곳에 포함시킨 것도 이런 차원으로 해석된다. 과천지구는 주택건설 규모가 7000채에 불과해 신도시로 부르기 민망한 수준이다.

○ 당초 예상보다 먼 남양주, 인천

정부가 3기 신도시 후보지의 최우선 요소로 서울 접근성을 꼽았음에도 다소 의외로 보이는 지역도 있다. 1134만 m²를 개발하는 남양주 왕숙지구(1134만 m²·6만6000채)가 대표적이다. 전체 3기 신도시 공급 주택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이곳에 몰려 있다. 서울 경계에선 2km 거리지만 서울 도심까지 닿기엔 교통여건이 좋지 않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남양주 왕숙지구는 기존 다산신도시와 별내지구의 확장일 뿐”이라고 했다.

정부는 수도권 광역고속철도(GTX) B노선의 완공을 ‘가정’하고 신도시 계획을 세웠다. 왕숙지구가 서울역까지 15분 걸린다고 했지만 이는 GTX B노선이 완공됐을 때의 얘기인 것이다. 국토부 측은 GTX B노선이 아직 예비타당성조사조차 통과하지 못했다는 지적에 대해 “내년 하반기까지 결론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 계양구 일대에 조성하는 인천 계양 테크노밸리지구 역시 서울 도심과 상당히 거리가 있다. 정부는 인천지하철 박촌역과 서울지하철 김포공항역을 잇는 S-BRT를 만들어 해당 부지와 여의도를 25분 만에 잇겠다는 계획이다. 가용 면적의 49%를 자족용지(약 90만 m²)로 조성해 도시첨단산단, 스타트업캠퍼스 등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3만2000채의 주택이 들어서는 하남 교산지구는 서울지하철 3호선이 현재 종점인 오금역에서 10km가량 연장되면서 지구 내에 지하철역 2개가 새로 건설된다. 3호선이 연장되면 이곳에서 수서역까지 20분 정도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 지역에도 기업지원허브, 청년창업주택 등을 배치해 기업을 유치하고 덕풍천을 낀 친환경 주거단지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3기 신도시 개발을 맡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인공지능(AI), 자율주행,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단지를 조성해 스마트시티로 만들 계획이다.

○ 지역주민 반발 해소해야

3기 신도시 개발 후보지로 결정된 4곳은 앞으로 지역주민의 반발을 잠재워야 한다. 국토부는 4개 지자체와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30차례 이상 회의를 열었지만 주민 대상의 설득 작업은 이제 시작하는 단계다.

특히 과천은 정부가 9월 3기 신도시 지정 지역과 같은 곳을 택지 지정하려 했을 때 “과천은 서울의 베드타운이 아니다”라는 반발에 부딪힌 곳이다. 또 기존에 아파트 공급이 많은 것으로 평가되는 남양주도 갈등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벌써부터 집값 하락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김정희 국토부 공공주택추진단장은 “그동안 공공택지를 지정할 때 교통 혼잡, 임대주택 등의 문제로 지역 반대가 나오는 경우가 있었다”며 “이번 대책에는 교통 문제를 최대한 개선하기 위해 애쓴 만큼 지역 반발도 덜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재명 기자 jmpark@donga.com
#신도시#gtx#문재인 정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