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읽는동아일보]영화 차등관람료 유감 外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1월 30일 03시 00분


코멘트
 29일자 A12면 ‘영화관람료 꼼수 인상 논란’을 읽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시간과 좌석에 따라 ‘차등요금제’를 적용한다는 멀티플렉스 3사의 담합 여부를 조사한다는 것이다. 영화 시장 점유율 92.5%나 되는 3사의 담합 여부를 조사한다는 것이지만 이 제도에 대한 영화 팬들의 불만이 높다. 상영관들이 지나치게 영리를 목적으로 운영되면 영화 팬들이 떠나갈 수 있다.

 과거와 달리, 이제는 굳이 극장에 가지 않아도 집에서 TV로 편하게 영화를 감상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번거롭게 영화관을 찾는다고 해도 차등요금제를 접하고 나면 머리가 아파진다. 평일 낮 시간에는 빈 공간에서 혼자 영화를 볼 때도 있다. 그럴 바에는 관객이 없는 평일과 낮 시간은 할인을 더 해줘야 할 것이다.

 고령자 대우를 받는 사람들도 할인된 가격으로 영화관에 가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들은 한가한 시간에 다니므로 굳이 차등요금제를 적용받지 않는 사람들이다. 영화관들은 눈앞의 작은 이익보다 효율적으로 빈 공간을 활용한다는 생각으로 영화 팬들을 더 확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아울러 영화관에서 팝콘 등 간식을 먹는 관람객들도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모습을 보였으면 한다. 영화관은 문화 공간이다. 모두 즐거운 관람을 위해 성숙한 문화 시민의 태도가 필요하다.

▼대통령보다 강한 국민 저력… 언론, 끝까지 감시하길▼

 박근혜 대통령은 29일 임기 단축을 포함한 진퇴 문제를 국회의 결정에 맡기고, 정권 이양을 위한 일정과 법 절차를 정해주면 그에 따라 물러나겠다고 밝혔다. 물론 “탄핵을 피하기 위한 꼼수”라는 평가가 나오지만 개인적으론 당장의 사퇴로 국정 공백과 혼돈 속에 빠지는 것보다 국민의 뜻에 따라 국정과 경제 상황, 개헌 문제까지 감안한 ‘질서 있는 정리’ 절차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는 그동안 동아일보가 1면 사설 등을 통해 꾸준히 제시해온 대안과 일맥상통한다.

 대통령이 “물러나겠다”고 약속한 만큼 이제는 국가적 손실을 최소화하고, 새로운 정치체제에 대한 국민적 합의를 이뤄 도약 발판으로 삼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라고 생각한다.

 이번 사태에서 동아일보의 보도와 논조는 매우 명확하고, 올바른 판단과 여론 형성에 크게 기여했다고 생각한다. 독자로서 뿌듯하다. 28일자 A1면 ‘대통령이 무너뜨린 국격, 국민이 쌓아올렸다’는 제목은 콧등이 시큰해져 올 만큼 감동스러웠고, 국민들의 자부심을 불어넣는 보도였다.

 대통령은 퇴진을 선언했지만 이어 뒤따를 절차와 수순이 더 걱정이다. 대통령의 사법적인 처리와 최순실 비선 실세 일당의 국정 농단이 어디까지 손을 뻗쳤는지는 철저히 밝혀 역사의 기록으로 남기고 일벌백계해야 할 것이다. 정치권은 차기 대선을 앞두고 당리당략과 이해득실 계산에 빠지기 쉽다. 언론이 끝까지 준엄한 국민의 눈으로 정치권을 감시하고 이끌어 이번 사태를 대한민국 도약의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강신영 한국시니어블로거협회 대표·서울 송파구·제해치 부산대 홍보팀장·부산 금정구
#박근혜#탄핵#촛불 시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