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南과 北어디에도 마음 못붙이는 탈북자의 우울한 초상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7월 16일 03시 00분


코멘트

“브로커費보증섰다 차압… 南사회 기대 접어”
정착 11년차 탈북자, 재입북 처음 공개 예고

남한에서도, 북한에서도 정착하지 못해 ‘떠도는 탈북자’가 계속 늘고 있다. 재입북했다가 다시 탈북한 일가족이 있는가 하면, 남한에 정착한 지 10년이 넘은 탈북자가 처음으로 재입북을 예고했다.

탈북자인 손정훈 북한이탈주민비전네트워크 대표(49)는 15일 본보 기자를 만나 “이제 한국사회에 대한 기대를 접었다. 북한으로 돌아가 평양에 계신 어머니(80)라도 만나려 한다”고 말했다. 그의 재입북은 국가보안법 등 현행법 위반에 해당한다.

손 대표가 남한 정착 11년 만에 범법자가 될 것을 각오하며 재입북을 결심한 이유는 탈북 브로커에게 지급한 돈 때문이다. 손 대표는 2009년 브로커 김모 씨에게 탈북 여성 A 씨가 한국까지 오는 데 필요한 돈 850만 원을 보증 섰다. 병에 걸린 A 씨 대신 채무변제 소송을 당한 손 대표는 “일부라도 먼저 갚겠다”고 했지만 패소했고 이달 1일 냉장고 등 가재도구를 압류당했다. 정부에서 제공한 임대아파트 보증금도 압류된 상태다. 손 대표는 “정부가 탈북자 보호 의무를 개인에게 떠넘긴 채 그로 인한 책임까지 질 것을 요구하고 있다”며 울분을 터뜨렸다. 그는 “북한은 기독교를 믿었다는 이유로 내 형을 공개 총살한 나라”라며 “그런 곳으로 되돌아가는 심정이 참담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통일부 관계자는 “탈북자 상담기관인 하나센터와 신변보호 경찰관을 통해 손 대표의 주장에 대한 정확한 내용을 파악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14일 탈북자 김광호 씨 가족이 재입북 후 다시 탈북했다가 중국 공안 당국에 체포됐다는 보도(본보 15일자 A2면)와 관련해 외교부는 중국 정부에 공문을 보내 사실 여부를 확인해 달라고 요청했다. 김 씨의 재입북도 브로커 비용을 갚지 못한 데 따른 생활고가 한 원인이었다.

재입북한 탈북자는 올 상반기(1∼6월) 북한 매체를 통해 소개된 사례만 7명에 달한다. 지난해까지의 재입북이 총 4건(9명)에 불과했던 것에 비하면 빠르게 증가하는 것이다.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은 “정부가 탈북자 정책을 통일정책의 큰 틀에서 고민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비극적 상황”이라며 “지금이라도 정부가 적극적인 탈북자 보호 의지를 밝히고 국민에게 협조를 호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숭호 기자 shcho@donga.com
#탈북자#북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