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당 폐쇄로 웃돈 줘야 생필품 겨우 구해

  • Array
  • 입력 2012년 1월 12일 03시 00분


코멘트

상인들, 집에서 얌체 거래… 고추장 등 남한제품도 팔려

김정일 사망 전 北장마당 지난해 11월 말에 촬영한 함경북도 나선시 한 장마당에 있는 점포. ‘장마당’이라는 이름과 달리 밝은 조명 아래 대부분 중국에서 수입한 ‘외제’ 공산품이 진열장에 가득하다. 나선=동아일보 통신원 A 씨
김정일 사망 전 北장마당 지난해 11월 말에 촬영한 함경북도 나선시 한 장마당에 있는 점포. ‘장마당’이라는 이름과 달리 밝은 조명 아래 대부분 중국에서 수입한 ‘외제’ 공산품이 진열장에 가득하다. 나선=동아일보 통신원 A 씨
동아일보 통신원 A 씨는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조문 기간을 전후해 나선시의 장마당에도 몇 차례 들렀다. 장마당은 애도 기간이라 음주와 가무는 물론이고 상행위까지 금지돼 인적이 끊겼다는 게 A 씨의 전언이다. 주민들은 배급으로는 생활을 유지하기 힘든 상태에서 장마당까지 문을 닫자 큰 불편을 겪었다고 한다.

쌀과 채소 등 생필품을 구하기 위해 주민들은 장마당에 나와 장사를 하는 상인들의 집으로 찾아가 웃돈을 주고 구입해야 했다. 평소에도 같은 물건이 중국보다 2배가량 비쌌는데 애도 기간에는 그보다 더 높은 가격을 물어야 했다. 상인들 중에는 일부러 집에다 쌓아놓고 높은 가격으로 파는 얌체도 있었다고 한다.

쌀 1kg이 김정일 사망 직전에는 북한 돈으로 3300원가량이었는데 북한 주민의 월급이 보통 2000∼3000원이어서 한 달 월급에 맞먹었다. 신선한 사과는 1kg에 3500∼4000원으로 더 비싸 웬만한 사람들은 살 엄두도 내지 못한다고 한다.

북한의 장마당은 이름과는 달리 규모는 작지 않다. 옷은 물론이고 화장품 장난감, 집안을 꾸미는 그림까지 다양한 물품들이 거래된다. 시장 안에는 비가 올 때도 장사를 할 수 있도록 지붕까지 갖춘 건물도 있다.

북한 장마당의 공산품과 의류 등은 대부분 중국에서 도매로 들여온 것들이다. 어느 가게 진열장에는 고가의 수입품이 가득 차 있기도 했다. 일부 고추장과 쌈장 등 제품에는 한국업체 상표도 보였다. 중국을 통해 들여온 것으로 추정된다. 톱이나 낫 등 일부 공산품과 쌀이나 채소류 등은 북한에서 생산된 것이라고 한다.

중국 상인들은 공산품을 북한 시장에 공급하고, 그 대신 북한에서 나는 대게나 털게, 더덕과 같은 1차 생산품을 가져간다. 나선시가 경제특구라고는 하지만 아직 외국 자본 투자도 거의 없고 이러한 교역이 사실상 대외 경제활동의 전부라는 것이 통신원의 전언이다.

옌지=허진석 기자 jameshuh@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