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상임위원은 국회가 추천한 이들 3명과 대통령이 지명할 1명을 포함해 총 4명이 선임된다. 이들 4명은 방통위원장(장관급)과 함께 방통위의 주요 의사 결정권을 갖게 된다.
정치권과 관련 업계에서는 3명의 상임위원 내정자에 대해 “노무현 정부의 방송위원회 때와 달리 ‘정파성’보다 ‘전문성’ 위주로 인선된 것 같다”며 비교적 긍정적 반응이 많았다. 또 “KBS, MBC 출신이 방송위원회 위원으로 거의 예외 없이 선임되던 관행도 사실상 깨졌다”는 말도 나왔다.
‘대통령 지명 방통위 상임위원’으로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전문위원을 지낸 형태근 전 통신위원회 상임위원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회는 또 이날 방통위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민간기구인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위원으로 전 불교방송 사장인 김규칠 동국대 겸임교수(한나라당 추천), 백미숙 서울대 교수와 이윤덕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전문위원(이상 민주당 추천) 등 3명을 추천했다.
한편 이날 국회 방통특위 회의에서는 최시중 초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 경과보고서 채택이 무산됐다.
이에 따라 이명박 대통령은 청문 요구서가 국회에 제출된 지 20일이 경과되는 이달 24일에나 직권으로 최 후보를 위원장에 임명할 수 있게 돼 방통위의 공전(空轉)이 길어지게 됐다.
민주당 의원들은 회의에서 “병역 및 재산 문제 의혹이 많은 최 후보자는 부적격자”라고 주장하면서 집단 퇴장해 여야 합의 처리가 무산됐다.
민주당 정청래 의원은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 도덕성 등 어느 한 분야에서도 방통위원장 자격이 없다”고 말했다.
반면 한나라당 심재철 원내부대표는 “민주당이 마지막까지 최 후보자를 흠집 내서 국정의 원활한 운영을 방해하려 했다”며 “오늘 회의는 ‘국정 발목 잡기’를 계속한 현장”이라고 비판했다.
김용석 기자 nex@donga.com
부형권 기자 bookum90@donga.com
손택균 기자 sohn@donga.com
▶dongA.com에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