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6지금 어디에]자유분방-평등의식 강해…연대활동 익숙

  • 입력 2006년 12월 2일 23시 36분


코멘트
‘386세대’는 1960년대에 태어나 1980년대에 대학을 다닌 30대를 지칭하는 말로 10여 년 전부터 쓰이기 시작했다.

이들 상당수가 지금은 40대에 진입했지만 여전히 386으로 통한다.

김대중 정부에 이어 노무현 정부가 들어선 뒤 1980년대 학생운동을 했던 사람들이 정치권에 대거 들어가면서 386세대는 정치적으로 각광을 받게 됐고, 이후 386은 386 운동권 출신을 지칭하게 됐다.

386 운동권 중에서는 1985년 대학에 입학한 세대(85학번)가 주류로 분류된다. 1987년 6월 민주항쟁을 이끈 주역으로서 학생운동을 대중화하고 이후 시민사회 노동운동의 근간을 마련했다는 이유에서다. 1987년에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를 발족시켰다.

1985년을 기점으로 학생운동에 북한의 주체사상이 ‘도입’됐다. 이후 학생운동권은 북한의 주체사상을 받아들인 민족해방(NL) 계열과 남한 독자 혁명을 주장하는 민중민주(PD) 계열로 재편된다.

NL은 북한의 통일전선전술과 비슷한 전술로 학생운동권을 장악하고 대중화했으나 그 핵심 지도부는 오히려 주체사상에 매몰돼 대중으로부터 스스로 멀어져 갔다는 시각도 있다.

386세대는 경제성장의 혜택을 받으며 성장했다. 곤궁 속에 성장한 선배 세대와는 라이프스타일 면에서 다른 양상을 보인다. 이들은 대개 권위, 제도에서 벗어나려는 자유분방한 성향을 갖고 있다.

경상대 사회학과 정진상 교수는 “대학시절 1987년 6월 민주항쟁을 경험한 386세대는 세상을 변화시켰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늘 당당하고 자기주장을 강하게 내세운다”고 말했다.

386세대는 또 전대협 등 조직을 통한 운동 경험이 많아 횡적인 연대를 통한 집단적 행동에 익숙하다. 대학시절의 학생운동 경험을 바탕으로 시민단체나 정당 활동 등에 적극 나서고 있다.

386세대의 평균 교육수준은 예전에 비해 크게 높아졌다.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수준으로 중등교육을 받기 시작한 것도 이때부터라는 게 사회학자들의 설명이다.

여권 신장과 자유분방한 특징은 386세대의 높은 이혼율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1995년과 2000년 386세대에 해당하는 30∼39세, 35∼45세의 남자 이혼율은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높다. 1995년 30∼34세 여자 이혼율도 인구 1000명 당 8.6명꼴로 가장 높다. 당시 50∼55세 여성의 이혼율은 인구 1000명당 1.6명꼴이었다.

여성들의 활발한 경제활동으로 남녀 간 임금 격차도 줄어 1988년 처음으로 여자의 평균임금이 남자 평균임금의 절반을 넘어섰다. 운동권 출신인 한 인사는 “우리가 대학에 다닐 때부터 여자들이 공공장소에서 담배를 피우기 시작했다”며 “여성도 사회운동에 적극 참여하면서 여권이 함께 신장됐다”고 말했다.

박민혁 기자 mhpark@donga.com

동정민 기자 ditt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