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趙연대 문제점]『DJP 그렇게 욕하더니…』

  • 입력 1997년 11월 13일 19시 52분


신한국당과 민주당의 합당은 양당 총재가 먼저 선언한 뒤 밀어붙인 전형적인 「하향식 통합」이다. 특히 이회창(李會昌)신한국당총재와 조순(趙淳)민주당총재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져 급조된 「선거용 합당」이라는 점에서 태생적인 한계를 안고 있다. 우선 합당절차가 하향식이어서 통합협상 과정에서 잡음과 진통이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 신한국당내 합당 불만세력들이 조용히 있는 것은 대선이 임박한 「특수상황」 때문이다. 대선만 끝나면 통합당 안팎이 극도로 시끄러워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신한국당의 한 고위관계자는 『이총재가 선거에 이기더라도 조총재는 자력으로 당권을 지키지 못할 것』이라며 「한시적 총재론」을 주장했다. 또 합당과정에서 지분문제가 전면에 대두됨으로써 「DJP연대」에 대해 「권력 나눠먹기」라고 비판하기도 어렵게 됐다. 신한국당과 민주당의 7대3 지분배분이나 「대통령후보〓이회창, 총재〓조순」의 자리분담이 「대통령〓김대중(金大中), 총리〓김종필(金鍾泌)」과 크게 다를 게 없기 때문이다. 특히 양당 총재가 통합협상 과정에서 당의 공식채널을 거치지 않고 가족 등 「비선」을 내세운 것은 「DJP연대」 협상보다 오히려 비판받을 소지가 더 많은 대목이다. 두 총재는 『이면합의는 없었다』고 단언했다. 그러나 양당의 지분협상과정에서 『이미 7대3으로 얘기가 돼있는데 왜 그러느냐』는 말이 나오는 등 이면합의의 존부(存否)여부도 규명이 안된 상태다. 이같은 문제제기에 대해 이총재측은 『「DJP연대」는 기존의 헌법질서 파괴를 전제로 5년 동안의 권력 나눠먹기를 미리 정해놓았다는 점에서 「이―조 연대」와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고 반박했다. 〈박제균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