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 없는 로컬 가게들… ‘씁쓸한 편리함’만 남다[2030세상/박찬용]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5월 26일 22시 57분


코멘트
도쿄 시모키타자와는 5년 만에 가도 여전했다. 수수하고 느슨한 ‘시모키타자와풍’의 빈티지 옷 가게들이 역 앞부터 늘어서 있었다. 가게 앞에 벤치를 놓아둔 헌책방에서는 사람들이 진지한 표정으로 헌책을 고르고, 책방 빈 곳에 대충 만들어둔 자리에서는 사장님이 끓이는 밀크티와 향냄새가 났다. 격동 21세기에 이렇게까지 그대로라니. 동아시아에 희미한 전운이 감도는 가운데 코로나19 시대를 지나 불경기가 와도 시모키타자와는 내가 알던 그곳이었다.

박찬용 ‘아레나 옴므 플러스’ 피처 디렉터
박찬용 ‘아레나 옴므 플러스’ 피처 디렉터
짧은 휴가를 마치고 돌아왔다. 최근 우리 동네는 각종 ‘로컬 카페’로 유명해졌다. 윤석열 대통령이 후보 시절 다녀갔다는 ‘로컬’ 공간도 멀지 않다. 동네를 걷다가 ‘로컬 카페’의 안쪽을 들여다보면 이 동네에 사는 듯한 사람은 보이지 않는다. 동네 사람들은 일요일 오전부터 세심한 ‘꾸안꾸’ 룩으로 카페에 앉아 에스프레소를 마시지 않는다. 나는 그들을 지나 1500원짜리 아메리카노를 파는 가게에서 커피를 사고 마일리지를 쌓았다.

그 사이에서 동네의 오래된 가게들은 문을 닫는다. 며칠 전에는 집에 가는 길 철물점에 걸린 현수막을 봤다. ‘35년 동안 감사했습니다.’ 폐업 인사였다. 그 옆 떡집도 몇 달 전 나갔는데 공실이 채워지지 않는다. 떡집은 학생들의 아침 식사 수요가 은근히 많고 철물점은 진정한 동네 주민의 비상용품 가게다. 동네 대형 미용실도 문을 닫고 한참 비어 있다가 그 자리에 ‘인스타 맛집’풍 삼겹살집이 생겼다. 일상적 상업공간이 나간 자리에 비일상적 시간을 보내는 식당이 왔다.

도쿄 휴가 중 읽은 책에는 영화감독 기타노 다케시가 했다는 말이 인용돼 있었다. ‘경제적으로 손해를 보더라도 지역 상권을 위해 로컬숍에서 물건을 사는 게 좋다’는 정도의 말이었다. 시모키타자와와 우리 동네를 생각하니 이 말의 무게감이 남달랐다. 사실 시모키타자와에서 갔던 가게 중엔 ‘물건은 귀엽지만 이 값에 팔릴까’ 싶은 걸 파는 곳도 있었다. ‘손해를 보더라도 로컬이니 산다’는 공감대가 있으니 그런 가게도 운영되는 걸까.

작금의 ‘로컬’ 논의에는 중요한 돈 이야기가 빠져 있다. 로컬 제품은 매끈한 대량 생산품보다 비싸고 투박할 수 있다. 쿠팡보다 나은 게 없을 수도 있다. ‘내가 좋아하는 로컬숍을 지키기 위해 나의 비합리적인 소비가 필요하다’는 논리에 설득력이 있을까? 자신의 소득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가성비를 외치는 현대 한국에서? 이런 면에서 보면 ‘로컬’ 논의는 처음부터 반쪽이며, 특히 서울보다 소득이 낮은 타지의 ‘로컬’은 더욱 어불성설이다. 타지 사람들이 찾는 ‘로컬’이라면 민속촌에서 파는 기념품과 다를 게 뭔가.

걱정이다. 동네 사랑방은 사라지고 ‘로컬 호소 숍’만 계속 생겨나면 어쩌지. 요즘 한국에서 가장 잘 먹히는 일은 밑도 끝도 없는 호소인 걸까. 나는 지금까지 적은 이유로 쿠팡에 가입하지 않았다. 오늘 밤 최저가로 구입한 물건이 다음 날 새벽에 오는 편리. 쿠팡의 등장 이후 많은 로컬 가게가 사라졌고 유통 생태계가 바뀌었다. 동네 곳곳의 쿠팡 상자를 보면 이런 사람은 우리 동네에 나 하나다. 그래도 가능한 한 이렇게 살려 한다. 나는 우리 동네와 이곳 가게들이 좋기 때문이다.

박찬용 ‘아레나 옴므 플러스’ 피처 디렉터



#로컬#가게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