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간토대학살 100년… 한일 새 시대 걸맞은 日 각성 촉구한다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8월 28일 23시 57분


코멘트
고려박물관 에서 공개한 간토대지진 당시 조선인 학살 장면을 생생히 묘사한 그림. 도쿄=이상훈 특파원 sanghun@donga.com
고려박물관 에서 공개한 간토대지진 당시 조선인 학살 장면을 생생히 묘사한 그림. 도쿄=이상훈 특파원 sanghun@donga.com
9월 1일은 일본 간토(關東)대지진 100년을 맞는 날이다. 도쿄와 외곽 지역에서 노동자로 살아가던 조선인 수천 명이 대지진 혼란기에 ‘우물에 독을 풀었다’ ‘불을 질렀다’는 헛소문에 휩쓸려 민간 자경단 등에게 학살됐다. 일본 내각부 산하 중앙방재회의가 2008년 작성한 보고서는 지진과 화재로 숨진 10만5000명 가운데 “1∼수 %가 피살됐다”라고 기록했는데, 희생자 대다수가 조선인이었다. 군과 경찰도 학살에 가담했다는 사실을 묘사한 일본인 화가의 1926년 그림이 최근 공개됐다. 식민시대 일본이 가한 최악의 범죄였다.

일본은 100년 전 반인륜적 역사와 마주해야 한다. 2017년 아베 신조 정부처럼 “정부의 기록이 없다”며 회피할 일이 아니다. 100년 전 학살에는 일본 민간인은 물론 군과 경찰까지 가담했다는 증언이 여럿 나왔지만, 일본 정부는 인정하지 않고 있다. 가해의 역사를 기록하지 않았거나 전쟁범죄 부분을 파기했을 가능성이 있다. 다만 1923년 내무대신을 지낸 고토 신페이 보고서(지진 후 형사사법 조사서)가 존재한다. 이를 바탕으로 작성한 2008년 내각부 보고서도 일본 정부 홈페이지에 등재돼 있다. 두 보고서 모두 조선인이 조직적으로 불안을 부추긴 사실이 없었다는 결론이었다. 여기에 학살 목격자의 진술을 학계와 시민사회가 다수 정리해 놓았다. 일본 정부가 의지만 있다면 진실에 접근할 수 있다.

일본의 책임 방기 속에 생존자들이 숨지면서 “학살은 없었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은 개탄스럽다. 참극이 벌어졌던 도쿄도의 지사마저 그동안 해 오던 추모문 발송을 7년째 중단하면서 역사 앞에 부끄럽게 처신하고 있다. 6월 요미우리신문이 “유언비어를 접하고 만든 자경단이 일본도와 도끼로 조선인을 죽였다”고 보도했는데, 변화의 시작이기를 기대할 뿐이다.

일본은 간토대학살의 진상 규명에 협조하고 사과해야 마땅하다. 군국주의와 결별한 일본이 가해 사실의 망각을 기다리는 것은 국익과 위신을 해치는 일이다. 외면한다고 역사가 지워질 수는 없지 않은가. 두 나라는 열흘 전에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를 통해 “일국이 위협받으면 한미일 3국이 신속히 협의한다”고 공약하면서 준(準)동맹으로까지 평가받고 있다. 일본의 거듭되는 과거사 회피는 양국이 새로운 시대로 나아가는 걸 가로막는 행위다.
#간토대학살#일본#반인륜적 역사#진상 규명 협조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