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외교는 우리의 미래 자산[기고/이덕로]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5월 9일 03시 00분


코멘트
이덕로 세종대 행정학과 교수
이덕로 세종대 행정학과 교수
정권 교체와 함께 정부 조직의 개편 논의가 번져가고 있는 요즈음에도 외교와 국방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국가의 고유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외교부의 경우는 외교의 기능에 통상을 더하는가의 논의가 있지만 외교 기능이 다른 부처 소관의 업무가 된다는 것은 일반적인 상상을 넘어선 것이다.

외교 분야 중 다소 생소한 개념이라 할 수 있는 ‘공공외교(Public diplomacy)’는 국가 차원에서도 새로운 도전이 아닐 수 없다. 공공외교란 외국 국민과의 직접 소통을 통해 우리의 역사, 문화, 가치, 정책,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 신뢰를 확보함으로써 외교관계를 증진하고, 국제사회에서 우리의 영향력을 확장하는 외교활동을 말한다. 이는 정치와 경제라는 하드파워와 대비되는 소프트파워를 의미하며, 궁극적으로 우리의 스마트파워를 고양시키는 결정요소인 것이다.

전통적인 정부 간 외교 기능을 넘어서 국가 전체의 모든 양상을 정부 외의 모든 영역과 교류해야 하는 공공외교는 이제 발아와 동시에 폭발적인 확산이 요구되는 분야이다. 특히 우리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전 세계가 주목하는 우리나라의 모습을 본질 그대로 투영시켜야 하는 게 공공외교다. 여기에서 전 세계인들의 욕구를 어떻게 충족시킬 것인가의 질문은 고난도의 과학을 뛰어넘는 차원의 것이다. 더구나 코로나19로 비대면 활동이 일상화된 상황에서 공공외교는 우리의 첨단 정보기술(IT)은 물론이고 뉴미디어에 기반한 디지털 공공외교로 확장되어야 한다.

2010년을 ‘공공외교의 원년’으로 선포한 이래 이미 ‘KOREAZ’ 같은 외교부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채널이 디지털 공공외교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이제 우리의 공공외교 영역은 인적 네트워크는 물론 지역별, 계층별 핵심 타깃층을 위한 맞춤형으로 최적화해야 한다. 이와 관련해 국회에는 ‘공공외교법 일부 개정안’이 계류되어 있고, 외교부 역시 자신의 공공외교 채널은 물론 타 부처, 공공기관, 개인 유튜브 채널 등의 콘텐츠에 대한 기초분석을 통해 미래의 디지털 공공외교를 적극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준비를 지속하고 있다.

차제에 이 같은 공공외교를 극대화할 수 있는 몇 가지 전략을 제언한다. 우선 전 세계의 핵심 권역을 중심으로 정확한 수요를 반영한 콘텐츠를 개발해 전파해야 한다. 물론 이는 적절한 언어와 메타버스를 포함한 우리의 강력한 정보통신기술(ICT)이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다양한 계층의 지혜와 창의력이 투영되는 참여형 공공외교가 필요하다. 셋째 중앙과 지방, 공공기관과 민간 등 국가 전 분야에서 파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디지털 공공외교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범정부적 허브(Hub)가 구축돼야 한다. 특히 미래의 관점에서 디지털 공공외교를 통합해 운영할 수 있는 기제의 설치가 요구된다.

디지털 공공외교를 포괄하는 우리의 공공외교는 미래의 자산이다. 모든 사회 부문에서 진행되고 있는 융합과 통섭 역시 필수적이다. 국민들의 폭넓은 숙의와 범정부 차원의 힘찬 추진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덕로 세종대 행정학과 교수
#외교#공공외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