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린 ‘인간시장’의 장총찬에 열광했나[DBR]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10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당신이 1980년대에 청년 시절을 보냈다면 소설 ‘인간시장’의 주인공 장총찬을 기억할 것이다. 인간시장은 소설로는 한국 최초의 밀리언셀러로 1, 2부 총 20권이 잇달아 출간되던 1980년대 내내 베스트셀러 자리를 놓치지 않았다. 당시 군사정권이 대학가, 노동 현장, 군부대, 해외 근로 현장 등에서 판매금지 조처를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세운 기록이니 경이롭기까지 하다. 그 인기를 입증하듯 무려 다섯 차례에 걸쳐 영화와 드라마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1980년대 독자들은 왜 인간시장에 그토록 열광했을까? 인간시장은 1980년대 한국 사회의 그늘에 초점을 맞춘 소설이다. 여기에는 점쟁이, 사이비 종교인, 소매치기, 깡패, 건달, 도박꾼, 꽃뱀, 포주 같은 밑바닥 범죄자부터 사회 지도층 인사까지 각계각층을 망라한 악인이 총출동한다. 이들이 저지르는 악행의 스펙트럼은 입이 떡 벌어질 정도로 방대하다. 인신매매, 소매치기, 사기, 강간 같은 범죄부터 국가 경제를 위협하는 국제적 음모까지, 1980년대 한국 사회에 암약하던 모든 종류의 악과 대결하는 자가 바로 인간시장의 주인공 장총찬이다.

작가 김홍신은 서민과 빼앗긴 자, 억울하게 당한 자의 편에 서서 오로지 ‘정의는 반드시 이긴다’는 일념으로 악인을 응징해 나가는 주인공 장총찬을 만들었다고 한다. 그런데 장총찬의 면면을 보면 오히려 빌런(악당)에 가깝다. 어릴 적부터 동네 꼬마들의 왕초로 군림했던 장총찬은 10대 시절 가출해 일찍이 서울의 주먹 세계에 뛰어든 인물이다. 그는 행자승에게 사사한 무술과 표창 던지기를 주특기로 주먹 세계에서는 명성이 자자한 ‘할배’가 되는 데 성공했다. 그런데 그렇다고 어둠의 세계에 완전히 몸을 담근 것은 아니다. 그는 ‘똥통 대학’에나마 이름을 올린 법학과 학생이기도 하다.

장총찬은 무식하고 가난한 시골 출신, 서류도 안 쳐주는 삼류 대학생이다. 그에게는 ‘빽’도 뭣도 없다. 하지만 그는 누구보다도 대우받고 싶은 열망에 타오른다. 그러니 어쩌겠는가. 의지할 것은 정말 맨주먹 하나뿐이다. 악인 잡는 악인, 복잡한 법이나 고귀한 도덕이 아니라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단순한 복수 원칙에 따라 움직이는 영웅. 장총찬은 할리우드 영화 주인공으로 치면 슈퍼맨, 배트맨, 캡틴 아메리카가 아니라 데드풀에 가깝다.

사람들은 왜 장총찬 같은 ‘안티(反) 히어로’에 열광할까? 안티 히어로가 우리 안의 야만적이고도 원초적인 정의에 대한 욕망을 구현해 주기 때문이다.

우리는 악을 대할 때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냉철한 복수 원칙이 관철되기를 원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우리는 공권력이 구현하는 간접적인 정의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기계적이고 차가운 법의 정의는 당사자에게 심정적으로 미진한 구석을 남기기 쉽다. 그런데 안티 히어로의 정의는 그렇지 않다. 그들은 우리를 대신해 편파적이고 뜨겁고 격렬한, 즉 ‘인간적인’ 정의를 즉각적으로 실현해준다. 1억을 훔쳤다고? 1억을 도로 훔쳐 오면 된다. 법망을 교묘하게 다 피하는 놈들이라고? 법망이 아니라 주먹의 망을 펼쳐주면 된다. 안티 히어로의 정의에는 미진한 구석이 없다.

인간시장은 부조리와 부정의가 만연한 1980년대 한국 사회에 철퇴를 내렸다. 독자들은 장총찬이 문자 그대로 악을 쳐부수는 모습을 보며 열광했다. 그는 현실에서 감히 실현할 엄두도 능력도 없는 우리의 욕망을 대신 성취해 줌으로써 시대의 아이콘이 됐다.

야만적이고 원초적인 정의를 갈구하는 욕망은 우리 시대에도 남아 있다. 그러나 그 욕망의 문화적 형식은 시대를 타기 마련이다. 적어도 오늘날의 악을 상대하려면, 장총찬처럼 분노의 표창을 쉭쉭쉭 날리기만 해서는 부족할 것이다. 권위주의적 군사정권하의 독자들이 장총찬의 무법적 정의에 환호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오늘날 우리도 그런 무법적 정의를 은밀하게 욕망한다. 법보다 가까운 ‘무언가’의 정의를 말이다.

장총찬이 저 ‘무언가’의 자리에 맨주먹을 넣었다면, 우리는 무엇을 넣어야 할까?

이 원고는 DBR(동아비즈니스리뷰) 282호에 실린 글 ‘무법적 정의를 은밀하게 욕망하다’의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이경림 서울대 국문과 박사
#인간시장#장총찬#안티 히어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