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평범하게 살거야”…자살조차 쉽지 않은 가난한 삶의 잔인함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5월 31일 16시 42분


코멘트
지난달 28일은 하청업체 비정규직으로 일하던 김모 군이 서울 구의역에서 홀로 지하철 승강장 안전 문을 고치다 열차에 치여 숨진 지 3년 되는 날이었다. 청년의 무참한 죽음을 기리는 ‘너는 나다’라는 이름의 추모제를 보면서 20년 전 영화가 떠올랐다.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면서 장피에르·뤼크 다르덴 형제 감독의 이름을 세계에 알린 ‘로제타’다.

열여덟 살 로제타는 알코올중독자인 엄마와 도심에서 떨어진 캠핑장 트레일러에서 산다. 공장에서 해고당하고 일한 기간이 짧아 실업급여를 받을 수도 없다. 헌 옷을 주워와 엄마가 수선하면 내다 팔며 생계를 유지한다. 먹을 게 부족해 관리자 몰래 강에서 물고기를 잡을 때도 있다. 단 하나인 외출용 운동화와 장화로 버티는 나날이지만 그는 위험천만한 도로를 가로지르며 부지런히 일자리를 구하러 다닌다. 우연히 와플 가게에서 일하는 또래 청년 리케와 친구가 돼 거기서 일하지만 가게 사장의 아들이 퇴학을 당하는 바람에 일자리를 뺏기고는 쫓겨난다. 만취해 집 앞에 널브러져있는 엄마를 가까스로 침대에 눕히고 삶은 계란 한 알을 먹은 뒤 로제타는 자살할 마음으로 창문의 새는 틈들을 막고 가스통의 밸브를 열고 자리에 눕는다. 그러나 그에겐 자살도 쉽지 않다. 가스가 모자라서다.

영화는 새로 산 가스통을 힘겹게 들고 가다 쓰러져 울음을 터뜨리다 일어선 그의 얼굴에서 끝난다. 로제타가 원한 건 단지 정상적인 삶, 남들과 같은 집, 남들과 같은 직업을 갖는 것이었다. “너 이름은 로제타” “내 이름은 로제타” “넌 일자리가 생겼어” “난 일자리가 생겼어” “넌 평범한 삶을 살거야” “난 평범한 삶을 살거야” 라고 혼잣말을 되뇌던 그이므로 끝내 죽음을 선택하진 않을 것이다.

가난한 삶의 잔인함을 이토록 탁월하게 그려낸 영화가 또 있을까 싶다.

가혹한 현실에 놓인 그를 동정하지 않는 영화의 시선은 서늘하다. 그의 삶을 대상화하지 않고 그의 지각을 따라 붙어 다니는 카메라는 영화의 주관을 경계한다. 이후 세계 젊은 영화인의 전범이 된 핸드헬드(손으로 들고 찍기)와 롱테이크(하나의 장면을 끊지 않고 길게 촬영하기)로 현실을 좇는 다르덴 형제 감독은 연출적 개입을 최대한 배제한 사실주의 기법으로 세상과 삶의 부조리함을 그려냈다.

영화가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이 영화가 칸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이후 2000년 벨기에 정부는 ‘로제타 플랜’을 도입한다. 강력한 청년실업자 의무고용제도로 종업원 50명 이상의 사업장에서 고용 인원 3%에 해당하는 청년 노동자를 추가 고용하도록 의무화한 것이다. 영화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현실에 참여하기 위해 영화를 만든다”는 다르덴 형제 감독의 영화다운 결과다.

영화 로제타와 로제타 플랜이 함께 이야기되는 세상과는 점점 멀어지는 이 땅의 현실 속에서 ‘너는 나다’라는 누군가의 문장이 가슴을 서늘하게 했다. 이 영화는 20년 만에 한국에서 며칠 전 개봉했다.

심재명 영화사 명필름 대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