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박성원]정의당의 서울 - 경기 ‘정치연대’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3월 12일 03시 00분


코멘트
2010년 서울시장 선거에서 민주당 한명숙 후보는 46.83%를 얻었다. 한나라당 오세훈 후보에게 0.6%포인트 차로 뒤진 아쉬운 패배였다. 당시 진보신당 노회찬 후보의 득표율이 3.26%. 노회찬이 출마를 포기해 한명숙에게 야권 표를 몰아줬더라면 당락이 뒤바뀌었을 것이라는 비판이 거셌다. 그렇지만 진보신당에서 서울에 후보를 내지 않을 수는 없었다. ‘진보’를 강조하는 그들이 통합진보당 참여와 분당, 진보정의당, 정의당으로 이름표를 바꿔 달면서도 생존을 유지한 명분은 독자적 정체성에 있었다.

▷정의당은 지금까지 새누리당과 민주당 양당 중심의 정치를 강하게 비판했다. 다당제를 만들 수 있는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정당명부제 도입을 주장한 정당도 정의당이다. 심상정 원내대표는 지난달 국회 연설에서 “정치 개혁의 근본 과제는 낡은 거대양당 독점 체제를 해체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달 초 새정치연합 안철수 의원이 민주당과 사실상 합당을 선언했을 때도 정의당은 이를 비판했다.

▷정의당이 6·4지방선거에서 서울시장과 경기도지사 후보를 내지 않기로 했다.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통합 선언 이후 보수가 결집하고, 서울과 경기엔 정의당의 목표와 협력할 수 있는 야권후보들이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정의당은 그동안 서울시장 후보에 천호선 대표를, 경기도지사 후보에 심상정 원내대표 공천을 검토했다. 천 대표는 “연대를 전제로 조건을 내세운 게 아니다”고 했지만 서울시장과 경기도지사 선거에선 사실상 야권연대가 이뤄졌다.

▷‘보수 결집’에 대항하기 위해서라는 명분은 정의당이 얼마 전까지 내세웠던 주장을 뒤집는 것으론 옹색하다. 심 원내대표가 경기도지사 출마로 의원직을 사퇴하면 분기별로 5억 원씩 받은 국고보조금이 절반 이하로 줄기 때문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정의당의 서울과 경기 포기는 양당제를 심화시키고 진보정당의 존재 이유를 스스로 반납하는 일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듯하다. 후보를 안 낼 바에야 차라리 통합신당과 합치는 게 어떠냐는 소리가 나오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박성원 논설위원 swpar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