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정인수]미래를 위한 선택, 조력에너지

  • 동아일보
  • 입력 2011년 4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정인수 한국수력원자력 건설본부장
정인수 한국수력원자력 건설본부장
한국의 2007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6억2000만 t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9위다. 제조업 중심의 에너지 다소비 산업구조인 데다 화석연료 의존율이 높아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기 때문이다. 온실가스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혀 1992년 유엔 기후변화협약에 따라 국제적으로 감축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정부는 유엔 기후변화협약에 적극 대처하고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과 더 큰 국가이익을 고려하여 202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배출 전망치(BAU)에서 30% 감축하기로 했다. 현재의 추세대로라면 2020년 온실가스 배출 규모는 8억1300만 t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데 약속한 목표치는 5억6900만 t이다. 2005년 배출량인 5억9400만 t과 비교하면 4%가 줄어든 양으로 지금부터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나가지 않으면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지난겨울 이상 한파로 인해 발생한 최대전력수요는 7314만 kW이며 공급예비율은 5.5%로 비상 상황이었다. 온실가스 감축 비교 대상 연도인 2005년 발전설비 용량은 6226만 kW로 2010년 7542만 kW보다 1316만 kW가 적다. 이는 다른 분야에서 더 많은 온실가스를 감축하지 않는다면 현재 기준으로도 1000만 kW 이상의 전력을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발전소에서 생산하거나 수요를 억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앞으로 수송 분야 온실가스 감축과 맞물려 전기자동차가 본격적으로 보급된다면 더 많은 전기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선진국의 예를 보면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전기같이 사용하기 편리한 에너지는 수요가 늘게 돼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가정용 전력은 지금의 2배 정도 증가가 예상된다. 이런 것들이 앞으로도 지속적인 발전설비 증설이 필요한 이유다.

그러나 대용량 발전설비가 들어설 수 있는 입지를 찾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온실가스 감축과 맞물려 화력발전을 늘리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원자력발전소와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늘리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으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해서 차질 없이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부에서는 발전사업자에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를 도입하여 법제화를 완료하고 시행을 앞두고 있다. 시행 첫해인 2012년 2%부터 시작해 2022년 10%까지 높아진다. 이는 앞으로 10년 동안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태양광(열), 풍력, 조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 확충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숙제를 발전사업자에 안겨준 것이다. 태양광(열)발전과 풍력발전은 일사량과 바람 등 제약조건이 많아 좋은 입지가 많지 않은 편이다.

전문가들은 조력에너지는 예측 가능한 대용량의 균질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고 발전효율이 다른 신재생에너지보다 우수하다고 밝히고 있다.

다만 초기 시설비가 많이 들어 발전량의 규모가 클 경우에만 사업을 시행할 수 있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우리나라 서해의 경우 650만 kW 이상의 조력에너지 개발이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청정에너지인 데다 천혜의 부존자원인 조력에너지 개발에 적극 나서는 것이 국가의 미래를 위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정인수 한국수력원자력 건설본부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